전남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106
이 불조역대통재는 석가여래 탄강으로부터 원나라 원통 2년(1334) 까지 사이의 고승대덕들에 대한 전기를 편년체로 수록한 것이다. 이 책에 전기한 김수온(1409 ~ 1481)의 발문에 의하면 조선 성종 3년(1472)에 인수왕비(덕종비)가 승하한 세조, 예종의 명복과 정희 대왕비, 성종, 성종비 공혜왕후의 장수를 빌고자 목판의 소재처를 분예하여 법화경 등 29종의 불교경전을 인출케 하였는데 본경은 바로 그 중의 하나에 해당한다. 판각이 정교하고 인쇄가 개긋하며 발문은 갑인소자를 찍어냈다. 이 통재는 당시 30부를 인쇄한 것 중의 1부인데 현재까지 알려진 완질의 전래로써는 이것이 유일본인 듯하다. 권 22말 하표지 이면의 우측 아래 부분 기록에 의하면 묵담종사가 건양 원년(1896)에 선사로부터 대대로 전수받아 간직해온 것이 현 용화사 주지인 배지광에게 전해진 것이다. 이 통재의 발문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명호지재, 약기공덕지본의칙, 원세조대왕, 예종대왕, 의경왕, 초 생정계, 인성대군, 선지수생이, 인기승ㅇ, 우유이축, 대왕대비전하 수만세, 주상전하수만세, 왕비전하수만세, 즉아인수왕비전하지지원 지성어시호주의, 은중경십우, 우별위선고좌의정서경부원군익양절공 한확, 선고비안성부부인홍씨, 오무생, 등피안지원지소성, 독차경자, 기가도왈, 차경내, 인수왕비전하지법시이, 인수왕비전하소이위상위 친심성대원지소재기가부지야재, 성화팔년하유월초길순좌현공신보 국숭록대부행판중추부사영산부원군신김수온근발」이 전적은 총 22 권 7책이다.
이 불조역대통재는 석가여래 탄강으로부터 원나라 원통 2년(1334) 까지 사이의 고승대덕들에 대한 전기를 편년체로 수록한 것이다. 이 책에 전기한 김수온(1409 ~ 1481)의 발문에 의하면 조선 성종 3년(1472)에 인수왕비(덕종비)가 승하한 세조, 예종의 명복과 정희 대왕비, 성종, 성종비 공혜왕후의 장수를 빌고자 목판의 소재처를 분예하여 법화경 등 29종의 불교경전을 인출케 하였는데 본경은 바로 그 중의 하나에 해당한다. 판각이 정교하고 인쇄가 개긋하며 발문은 갑인소자를 찍어냈다. 이 통재는 당시 30부를 인쇄한 것 중의 1부인데 현재까지 알려진 완질의 전래로써는 이것이 유일본인 듯하다. 권 22말 하표지 이면의 우측 아래 부분 기록에 의하면 묵담종사가 건양 원년(1896)에 선사로부터 대대로 전수받아 간직해온 것이 현 용화사 주지인 배지광에게 전해진 것이다. 이 통재의 발문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명호지재, 약기공덕지본의칙, 원세조대왕, 예종대왕, 의경왕, 초 생정계, 인성대군, 선지수생이, 인기승ㅇ, 우유이축, 대왕대비전하 수만세, 주상전하수만세, 왕비전하수만세, 즉아인수왕비전하지지원 지성어시호주의, 은중경십우, 우별위선고좌의정서경부원군익양절공 한확, 선고비안성부부인홍씨, 오무생, 등피안지원지소성, 독차경자, 기가도왈, 차경내, 인수왕비전하지법시이, 인수왕비전하소이위상위 친심성대원지소재기가부지야재, 성화팔년하유월초길순좌현공신보 국숭록대부행판중추부사영산부원군신김수온근발」이 전적은 총 22 권 7책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