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계두,계성,세망,홍교)
삼간의 홍예를 연결하고 있는 석교로서 외벽과 난간에 변모가 적지 않게 나타나 있다. 궁륭(穹?)형으로 된 이 석교는 각처에 있으며 또한 선암사 승선교와 함께 구조형식이 아주 뚜렷한 예이다. 궁륭형 교량은 동서를 막론하고 고대부터 있어온 터이며 국내의 유례로서도 불국사이 청운교, 백운교 등이 있다. 또 각지의 조선시대 석빙고 등에서도 천정가구에서는 이러한 홍예와 동류의 기법을 보이는 유구(遺構)들이 있다. 한편 이러한 조축형식은 성문 등에서 도 흔히 이용되어 온 것이다. 이 홍교는 원래 소종 44년 (서기 1718년)에 당시 낙안현의 주민들 에 의해 현지에 떼다리(강과 해류가 교차하는 곳에 원목을 엮어 놓은 다리)를 놓았는데 영조 4년(서기 1728년)에 전라도 지방에 내린 대홍수로 이 다리가 유실되자 그 이듬해 선암사 주지 호암화상(야휴)이 제자인 초안선사를 화주로, 습성대사를 공사감독으로 천거 착공하였으며 이 공사는 6년후인 영조10년(1734)에 완공을 보게 되었다. 위의 내용은 선암사 승선교 근처에 잇는 홍교비에 승선교 조성내 용과 함께 기록도어 있다. 이 홍교는 1981~1984년까지 4년에 걸친 보수공사를 실시하였다. 홍예의 밑부분과 석교 외벽의 시멘트를 제거하고 모두 화강암으로 교체하여 원형을 되찾았다.
삼간의 홍예를 연결하고 있는 석교로서 외벽과 난간에 변모가 적지 않게 나타나 있다. 궁륭(穹?)형으로 된 이 석교는 각처에 있으며 또한 선암사 승선교와 함께 구조형식이 아주 뚜렷한 예이다. 궁륭형 교량은 동서를 막론하고 고대부터 있어온 터이며 국내의 유례로서도 불국사이 청운교, 백운교 등이 있다. 또 각지의 조선시대 석빙고 등에서도 천정가구에서는 이러한 홍예와 동류의 기법을 보이는 유구(遺構)들이 있다. 한편 이러한 조축형식은 성문 등에서 도 흔히 이용되어 온 것이다. 이 홍교는 원래 소종 44년 (서기 1718년)에 당시 낙안현의 주민들 에 의해 현지에 떼다리(강과 해류가 교차하는 곳에 원목을 엮어 놓은 다리)를 놓았는데 영조 4년(서기 1728년)에 전라도 지방에 내린 대홍수로 이 다리가 유실되자 그 이듬해 선암사 주지 호암화상(야휴)이 제자인 초안선사를 화주로, 습성대사를 공사감독으로 천거 착공하였으며 이 공사는 6년후인 영조10년(1734)에 완공을 보게 되었다. 위의 내용은 선암사 승선교 근처에 잇는 홍교비에 승선교 조성내 용과 함께 기록도어 있다. 이 홍교는 1981~1984년까지 4년에 걸친 보수공사를 실시하였다. 홍예의 밑부분과 석교 외벽의 시멘트를 제거하고 모두 화강암으로 교체하여 원형을 되찾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