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 -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 책은 자운화상< 自雲和尙 > 경한< 景閑 >(1298∼1374)이 75세때(1372), 임제종< 臨濟宗 > 18대손< 代孫 >인 원나라 석옥청공화상< 石屋淸珙和尙 >에게서 받아 온 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 > 1권< 卷 >을 대폭 증보< 增補 >하여 상< 上 > ·하권< 下卷 >으로 성편< 成編 >한 것이다. 그 내용은 직지인심< 直指人心 >, 견성성불< 見性成佛 >하는데 요체< 要諦 >가 되는 과거< 過去 > 7불< 佛 >로부터 석옥< 石屋 >의 제자< 弟子 >인 법안선사< 法眼禪師 >에 이르는 역대제불< 歷代諸佛 >과 조사< 祖師 >들의 법어< 法語 >, 게송< 揭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 >은 본시 백운화상이 입적< 入寂 >한 3년< 年 >후인 우왕< 禑王 >3년< 年 >(1377) 7월< 月 >에 석찬달담< 釋璨達湛 >의 주도아래 비구니< 比丘尼 > 묘덕< 妙德 >의 시주< 施主 >를 얻어 청주목< 淸州牧 >의 흥덕사< 興德寺 >에서 주자< 鑄字 >로 인쇄< 印刷 >했다함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 판본< 版本 >은 우왕< 禑王 >4년< 年 >(1378)에 백운화상< 白雲和尙 >이 입적< 入寂 >한 여주< 驪州 > 천령현< 川寧縣 > 취암사< 鷲巖寺 >에서 제자< 弟子 >인 법린< 法隣 >등이 모연< 募緣 >하고 흥덕사< 興德寺 >의 주자본< 鑄字本 > 인출< 印出 >때 시주자< 施主者 >였던 묘덕< 妙德 >등이 조연< 助緣 >하여 판통례문사< 判通禮門事 > 김계생< 金繼生 >등의 시주< 施主 >를 받아 판각< 板刻 >하고 전년< 前年 >에 쓴 성토달< 成土達 > 서문< 序文 >에 이색< 李穡 >의 서문< 序文 >을 새로 덧붙여 펴낸 것이다. 이때 판서본< 板書本 >은 ■암< ■菴 >, 선화< 禪和 >, 천선< 天선 >등이 썼고 각수< 刻手 >로는 종건< 宗乾 >, 참< 참 >, (창< 昌 >)여< 如 >, 신명< 信命 >등이 참여하였다.
이 판본< 版本 >은 이보다 일년 앞서 인시< 印施 >한 흥덕사< 興德寺 >의 주자본< 鑄字本 >이 인출부수< 印出部數 >에 제한이 있었고 또 후쇄< 後刷 >해 낼 수 없는 제약< 制約 >으로 인해 널리 펼 수 없었기 때문에, 이렇듯 다시 판서본< 板書本 >을 마련하여 새겨낸 목판본< 木版本 >이다. 이와 동일한 판본< 版本 >이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소장되어 있으나, 이 판본이 인쇄상태< 印刷狀態 >가 좋은 편이고 두 개의 서문< 序文 >이 붙어 있어 완전하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