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시 과원동 1095(나주군청내)
이 탑은 원래 나주 북문외에 있었던 것을 현재 나주 군청내로 옮겨왔다. 이중기단에 3층석탑으로 일반형에 속한다. 하제석위의 중석에는 우주와 일주가 모각되었고 갑석 상면에는 완만한 경사가 있어 우동형이 표시되었고 중앙에 일단(一段)의 각형(角形)몰딩이 있다. 상층기단 중석은 큼직한 우주와 당주일주가 모각된 사매판석으로 짜여 있으며 갑석은 이매판석으로 상면에 경사를 이루었고 중앙에 일단의 몰딩이 묘사되었다.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석이 각각 1석식으로 옥신에는 모두 우주형 만이 있고 2층 옥신은 1층 옥신에 비해 급격히 줄어들었다. 옥개석은 두꺼운 편이고 옥리의 받침은 각층 3단이며 추녀밑은 직선이다. 우각에 이르러 약천의 반전이 있다. 옥상에는 우동형이 있고 전각에서 반곡이 있으나 석재의 위약한 탓인지 파손된 곳이 많다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한 편이며 정상에 탑신을 받기위한 괴 임이 희미하게 표현되었다. 상륜부에도 기단갑석으로 된 노반과 복본이 남아있을 뿐이다. 탑전체에 풍화가 심한 편이고 수작은 못되나 단정함을 잃지 않은 작품으로 ,일부에서 양식의 략화를 볼 수 있어 조성은 고려하대로 추정된다.
이 탑은 원래 나주 북문외에 있었던 것을 현재 나주 군청내로 옮겨왔다. 이중기단에 3층석탑으로 일반형에 속한다. 하제석위의 중석에는 우주와 일주가 모각되었고 갑석 상면에는 완만한 경사가 있어 우동형이 표시되었고 중앙에 일단(一段)의 각형(角形)몰딩이 있다. 상층기단 중석은 큼직한 우주와 당주일주가 모각된 사매판석으로 짜여 있으며 갑석은 이매판석으로 상면에 경사를 이루었고 중앙에 일단의 몰딩이 묘사되었다.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석이 각각 1석식으로 옥신에는 모두 우주형 만이 있고 2층 옥신은 1층 옥신에 비해 급격히 줄어들었다. 옥개석은 두꺼운 편이고 옥리의 받침은 각층 3단이며 추녀밑은 직선이다. 우각에 이르러 약천의 반전이 있다. 옥상에는 우동형이 있고 전각에서 반곡이 있으나 석재의 위약한 탓인지 파손된 곳이 많다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한 편이며 정상에 탑신을 받기위한 괴 임이 희미하게 표현되었다. 상륜부에도 기단갑석으로 된 노반과 복본이 남아있을 뿐이다. 탑전체에 풍화가 심한 편이고 수작은 못되나 단정함을 잃지 않은 작품으로 ,일부에서 양식의 략화를 볼 수 있어 조성은 고려하대로 추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