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이 불상은 5.38m나 되는 거불로 주형거신광과 동일석으로 조각되었다. 소발의 머리에 육계가 큼직하고 얼굴은 사각형에 가까우며 둥글고 도톰하다. 눈은 길고 코는 크며 얼굴에 가벼운 미소를 보이나 생동하는 불의 미소는 보이지 않는다 또 귀는 긴 편은 아니며 삼도가 표현되었으나 형식적이다. 신체는 괴량감이 충만하고 당당하나 어깨는 부자연스러우며 굴곡 도 잘 나타나지 않았다. 수인은 시무외인, 여원인인데 어색하다. 발목 이하는 땅에 묻혀서 알 수 없는데 원래는 이중태좌였다고 전하다. 법의는 통견이며 의문은 원호를 그리면서 발목가지 내려오 는데 V자식 의첩이다. 광배는 주형거신광이며 신광과 두광으로 구별되고 있다. 두광 안에는 머리 주위를 연화문으로 돌리고 그 사 이에는 화문을 장식하였고 신광 사이에는 운문을 새겼다. 이 석불은 얼굴의 비만감 또는 괴체화 되어가는 신체적 조형 및 형식적인 의문 등 고려 초부터 유행하던 거불 양식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불상은 현재 철천리 마을의 나지막한 산정에 위치하고 있는데 근처에 미륵사란 조그마한 암자에서 이 불상을 모시고 있다.
이 불상은 5.38m나 되는 거불로 주형거신광과 동일석으로 조각되었다. 소발의 머리에 육계가 큼직하고 얼굴은 사각형에 가까우며 둥글고 도톰하다. 눈은 길고 코는 크며 얼굴에 가벼운 미소를 보이나 생동하는 불의 미소는 보이지 않는다 또 귀는 긴 편은 아니며 삼도가 표현되었으나 형식적이다. 신체는 괴량감이 충만하고 당당하나 어깨는 부자연스러우며 굴곡 도 잘 나타나지 않았다. 수인은 시무외인, 여원인인데 어색하다. 발목 이하는 땅에 묻혀서 알 수 없는데 원래는 이중태좌였다고 전하다. 법의는 통견이며 의문은 원호를 그리면서 발목가지 내려오 는데 V자식 의첩이다. 광배는 주형거신광이며 신광과 두광으로 구별되고 있다. 두광 안에는 머리 주위를 연화문으로 돌리고 그 사 이에는 화문을 장식하였고 신광 사이에는 운문을 새겼다. 이 석불은 얼굴의 비만감 또는 괴체화 되어가는 신체적 조형 및 형식적인 의문 등 고려 초부터 유행하던 거불 양식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불상은 현재 철천리 마을의 나지막한 산정에 위치하고 있는데 근처에 미륵사란 조그마한 암자에서 이 불상을 모시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