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연곡사에는 3기의 부도가 남아있는데 이 부도는 동부도와 더불어 규모나 형태, 조식에 있어서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동일하여 그 조성년대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 이 북부도는 동부도를 모방하여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방형 지대석위에 운문이 조각된 팔각대석을 놓고 그 위에 연화문을 새겨 간석을 받고 있다. 간석 각면에는 안상 안에 조식이 있고 그 위에 연판내에 화형(花形)이 있는 두꺼운 앙련석이 있고 상면에는 중앙에 둥근 마디가 있는 난간을 우각마다 세웠으며 그사이 안상내에 가릉빈가 1구씩을 팔면에 조각하였다. 팔각탑신 각면은 문비, 향로, 사천왕상응로 장식하였으며 비교적 넓은 옥개석은 목조건축의 양식을 따라 이중의 연목, 기왓골 등을 정성들여 모각하였고 옥리에는 비천이 조각되었다. 상륜부 또한 완존하여 앙련의 대석위에 사봉황이 날개를 벌린 돌을 얹고 다시 연화석 보륜 등이 놓여있다. 이 부도는 누구의 것인지 모르나 어느 고승의 묘탑일 것이며 동부도와 더불어 그 형태, 조식에 있어서 우리 나라 부도를 대표할 만하다.
연곡사에는 3기의 부도가 남아있는데 이 부도는 동부도와 더불어 규모나 형태, 조식에 있어서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동일하여 그 조성년대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 이 북부도는 동부도를 모방하여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방형 지대석위에 운문이 조각된 팔각대석을 놓고 그 위에 연화문을 새겨 간석을 받고 있다. 간석 각면에는 안상 안에 조식이 있고 그 위에 연판내에 화형(花形)이 있는 두꺼운 앙련석이 있고 상면에는 중앙에 둥근 마디가 있는 난간을 우각마다 세웠으며 그사이 안상내에 가릉빈가 1구씩을 팔면에 조각하였다. 팔각탑신 각면은 문비, 향로, 사천왕상응로 장식하였으며 비교적 넓은 옥개석은 목조건축의 양식을 따라 이중의 연목, 기왓골 등을 정성들여 모각하였고 옥리에는 비천이 조각되었다. 상륜부 또한 완존하여 앙련의 대석위에 사봉황이 날개를 벌린 돌을 얹고 다시 연화석 보륜 등이 놓여있다. 이 부도는 누구의 것인지 모르나 어느 고승의 묘탑일 것이며 동부도와 더불어 그 형태, 조식에 있어서 우리 나라 부도를 대표할 만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