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신라 말기에 속하는 부도중 가장 형태가 우미하고 조식이 정교한 작품이다. 팔각원당(八角圓堂)을 기본형으로 삼았고 방형 지대석 위에 팔각2단의 하대석을 얹었는바 하단에는 운룡을, 상단에는 각면에 사자를 조각하였다. 얕은 간석에는 통식의 안상속에 팔부신중(八部神衆)을 조각하였으며 상대석은 중판앙련(重瓣仰蓮) 위에 각 우각마다 중간에 둥근마디가 있는 주형을 세우고 그 안에 간석에서와 같이 안상안에 가릉빈가(伽陵頻迦) 1구씩을 장식하였다. 탑신각면에는 문비(門扉), 보여(寶輿)와 사천왕상이 천각되었다. 옥개는 충실히 목조건축을 모방하여 이중연목과 기왓골이 모각되고 옥안에는 운문이 있다.
상륜부는 사방으로 날개를 활짝 편 봉황을 조각한 석재를 얹고 다시 연화 문석을 중적하였다. 신라시대 부도보다 기단부가 높은 경향이 있으나 안정된 비례에 각부 조각수법 또한 정묘하다. 이 부도는 도선국사의 부도라고 전하나 확실한 고증은 없고 형태나 조법으로 보아 신라 말기에서도 가장 우수한 작품이라 하겠다.
신라 말기에 속하는 부도중 가장 형태가 우미하고 조식이 정교한 작품이다. 팔각원당(八角圓堂)을 기본형으로 삼았고 방형 지대석 위에 팔각2단의 하대석을 얹었는바 하단에는 운룡을, 상단에는 각면에 사자를 조각하였다. 얕은 간석에는 통식의 안상속에 팔부신중(八部神衆)을 조각하였으며 상대석은 중판앙련(重瓣仰蓮) 위에 각 우각마다 중간에 둥근마디가 있는 주형을 세우고 그 안에 간석에서와 같이 안상안에 가릉빈가(伽陵頻迦) 1구씩을 장식하였다. 탑신각면에는 문비(門扉), 보여(寶輿)와 사천왕상이 천각되었다. 옥개는 충실히 목조건축을 모방하여 이중연목과 기왓골이 모각되고 옥안에는 운문이 있다.
상륜부는 사방으로 날개를 활짝 편 봉황을 조각한 석재를 얹고 다시 연화 문석을 중적하였다. 신라시대 부도보다 기단부가 높은 경향이 있으나 안정된 비례에 각부 조각수법 또한 정묘하다. 이 부도는 도선국사의 부도라고 전하나 확실한 고증은 없고 형태나 조법으로 보아 신라 말기에서도 가장 우수한 작품이라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