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정신문화연구원빌딩
이 책은 실차난타< 實叉難陀 > 역< 譯 >의 80권본< 卷本 >인 화엄경< 華嚴經 > 주본< 周本 >에 대한 주석서< 註釋書 >로 120권< 卷 > 가운데 제< 第 > 21,24권< 卷 >에 해당한다.
이 판본< 版本 >은 고려시대 대각국사< 大覺國師 > 의천< 義天 >과 친교< 親交 >가 있던 정원< 淨源 >이 주석< 註釋 >한 것으로 송< 宋 >나라에서 선종< 宣宗 >4년< 年 >(1087) 송상< 宋商 >을 통해 보내온 목판< 木板 >에서 찍어낸 것이다. 그 목판이 조선< 朝鮮 > 세종< 世宗 >5년< 年 >(1423)에 해인사 소장의 대장경판< 大藏經版 >을 날라고 졸라대는 일본< 日本 >으로 그 다음해(1424)에 증여되었다. 따라서 송각판< 宋刻板 >에서의 후쇄본< 後刷本 >은 모두 그 이전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이 전래본< 傳來本 >은 상염< 橡染 >의 표지< 表紙 >에 제목을 금서< 金書 >한 표장법< 表裝法 >이 보물 1013호로 지정된 권 68과 보물 1106호로 지정된 권 84, 100, 117과 동일하다. 고려 후기에 인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판본< 版本 >은 송< 宋 >나라에서 고려< 高麗 > 그리고 다시 일본< 日本 >으로 전파되어 동양삼국< 東洋三國 >의 불교문화교류< 佛敎文化交流 >에 큰 구실을 하였으며, 현재까지 권< 卷 > 28, 29, 30, 41, 42, 68, 84, 97, 100(복본), 101, 102, 117이 발굴되어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책은 실차난타< 實叉難陀 > 역< 譯 >의 80권본< 卷本 >인 화엄경< 華嚴經 > 주본< 周本 >에 대한 주석서< 註釋書 >로 120권< 卷 > 가운데 제< 第 > 21,24권< 卷 >에 해당한다.
이 판본< 版本 >은 고려시대 대각국사< 大覺國師 > 의천< 義天 >과 친교< 親交 >가 있던 정원< 淨源 >이 주석< 註釋 >한 것으로 송< 宋 >나라에서 선종< 宣宗 >4년< 年 >(1087) 송상< 宋商 >을 통해 보내온 목판< 木板 >에서 찍어낸 것이다. 그 목판이 조선< 朝鮮 > 세종< 世宗 >5년< 年 >(1423)에 해인사 소장의 대장경판< 大藏經版 >을 날라고 졸라대는 일본< 日本 >으로 그 다음해(1424)에 증여되었다. 따라서 송각판< 宋刻板 >에서의 후쇄본< 後刷本 >은 모두 그 이전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이 전래본< 傳來本 >은 상염< 橡染 >의 표지< 表紙 >에 제목을 금서< 金書 >한 표장법< 表裝法 >이 보물 1013호로 지정된 권 68과 보물 1106호로 지정된 권 84, 100, 117과 동일하다. 고려 후기에 인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판본< 版本 >은 송< 宋 >나라에서 고려< 高麗 > 그리고 다시 일본< 日本 >으로 전파되어 동양삼국< 東洋三國 >의 불교문화교류< 佛敎文化交流 >에 큰 구실을 하였으며, 현재까지 권< 卷 > 28, 29, 30, 41, 42, 68, 84, 97, 100(복본), 101, 102, 117이 발굴되어 보물로 지정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