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입주변이 일부 파손되었지만, 당당한 기형에 활달한 문양이 잘 어울리는 보기 드물게 큰 장군이다. 바닥은 편평하게 두드려 안정감이 있으며, 측면의 편평한 마구리를 제외하고 바닥까지 두텁게 백토(白土)를 바른 후, 두 줄의 선으로 각 문양대를 구획하였다. 입의 양옆에는 꽃잎무늬를 두었으며, 둥근 마구리에는 커다란 국화를 조화시문(彫花施文)하고, 그 주위로 큼직한 연잎무늬를 돌렸다. 측면의 편평한 마구리 주위에는 간략화된 모란엽문대(牡丹葉文帶)를 표현하였으며, 방형(方形)으로 구획된 주문양대에는 앞뒤로 율동적인 모란문을 조화(彫花)와 박지(剝地)기법으로 시문하였다. 회청색의 분청유가 얇게 시유되었으나, 용융(熔融)이 불량하여 편평한 마구리와 그 주위에는 유가 녹지 않은 상태이다. 형태도 뛰어나지만, 특히 문양이 빼어난 특출한 분청장군이다.
입주변이 일부 파손되었지만, 당당한 기형에 활달한 문양이 잘 어울리는 보기 드물게 큰 장군이다. 바닥은 편평하게 두드려 안정감이 있으며, 측면의 편평한 마구리를 제외하고 바닥까지 두텁게 백토(白土)를 바른 후, 두 줄의 선으로 각 문양대를 구획하였다. 입의 양옆에는 꽃잎무늬를 두었으며, 둥근 마구리에는 커다란 국화를 조화시문(彫花施文)하고, 그 주위로 큼직한 연잎무늬를 돌렸다. 측면의 편평한 마구리 주위에는 간략화된 모란엽문대(牡丹葉文帶)를 표현하였으며, 방형(方形)으로 구획된 주문양대에는 앞뒤로 율동적인 모란문을 조화(彫花)와 박지(剝地)기법으로 시문하였다. 회청색의 분청유가 얇게 시유되었으나, 용융(熔融)이 불량하여 편평한 마구리와 그 주위에는 유가 녹지 않은 상태이다. 형태도 뛰어나지만, 특히 문양이 빼어난 특출한 분청장군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