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끝에 도톰한 전이 나있고, 몸체가 수평으로 전개되었으며 내저< 內底 >의 중심< 中心 >에 작은 원각< 圓刻 >이 나있는 전접시로 굽다리는 넓어 단아< 端雅 >한 느낌을 주고 있다. 중앙< 中央 >의 잔받이에는「망우대< 忘憂臺 >」명< 銘 >이 쓰여 있어 시름을 잊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문양< 文樣 >은 청화< 靑畵 >로 접시의 내면< 內面 > 가장자리로부터 가을 풀꽃인 들국화와 풀을 간결하게 그리고 이 꽃을 찾는 벌을 기리고 있어 서정적인 느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이 있는 가장자리에는 작은 원들로 대< 帶 >를 이루어 나타내었다.
태토< 胎土 >는 정선되어 순백의 백토< 白土 >에 담청색< 淡靑色 >을 머금은 백자유< 白磁釉 >가 전면에 곱게 시유되었고 굽다리에는 가는 모래받침으로 정교하게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있으며, 경기도< 京畿道 > 광주< 廣州 >의 관음리< 觀音里 >, 신대리< 新垈里 > 일대< 一帶 >의 요< 窯 >에서 16세기전반< 世紀前半 >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현재 이 전접시에 조그만 백자잔이 함께 있어 이 전접시가 잔의 받침대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순백< 純白 >의 백자< 白磁 >에 밝은 청화< 靑畵 >의 청초한 무늬가 잘 어울리는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전접시의 하나로 잔받침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많은 뛰어난 작품의 하나이다.
끝에 도톰한 전이 나있고, 몸체가 수평으로 전개되었으며 내저< 內底 >의 중심< 中心 >에 작은 원각< 圓刻 >이 나있는 전접시로 굽다리는 넓어 단아< 端雅 >한 느낌을 주고 있다. 중앙< 中央 >의 잔받이에는「망우대< 忘憂臺 >」명< 銘 >이 쓰여 있어 시름을 잊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문양< 文樣 >은 청화< 靑畵 >로 접시의 내면< 內面 > 가장자리로부터 가을 풀꽃인 들국화와 풀을 간결하게 그리고 이 꽃을 찾는 벌을 기리고 있어 서정적인 느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이 있는 가장자리에는 작은 원들로 대< 帶 >를 이루어 나타내었다.
태토< 胎土 >는 정선되어 순백의 백토< 白土 >에 담청색< 淡靑色 >을 머금은 백자유< 白磁釉 >가 전면에 곱게 시유되었고 굽다리에는 가는 모래받침으로 정교하게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있으며, 경기도< 京畿道 > 광주< 廣州 >의 관음리< 觀音里 >, 신대리< 新垈里 > 일대< 一帶 >의 요< 窯 >에서 16세기전반< 世紀前半 >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현재 이 전접시에 조그만 백자잔이 함께 있어 이 전접시가 잔의 받침대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순백< 純白 >의 백자< 白磁 >에 밝은 청화< 靑畵 >의 청초한 무늬가 잘 어울리는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전접시의 하나로 잔받침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많은 뛰어난 작품의 하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