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자상감앵무문표형주자 - 청자상감앵무문표형주자(靑磁象嵌鸚鵡文瓢形注子)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아래박의 불룩한 앞뒷면에는 이중원< 二重圓 >을 흑백 선상감< 線象嵌 >으로 나타내고 그 중앙에는 쌍앵무문< 雙鸚鵡文 >과 두마리 사이에 운문< 雲文 >을 하나 배치하여 주문양< 主文樣 >으로 삼았다. 종속문양< 從屬文樣 >으로는 뚜껑 상면< 上面 >의 측사면< 側斜面>과 이에 맞물려 있는 밑짝의 구부< 口部 >에 각각 변형연판문대< 變形蓮瓣文帶 >가 음각되어 있다.
이 호리병의 잘룩한 부분에는 양각돌출선< 陽刻突出線 >이 있는데 동체< 胴體 >와 주구< 注口 >의 부착부분은 두줄로 된 능형< 菱形 >의 흑백선상감문< 黑白線象嵌文 >으로 장식되어 있다. 유< 釉 >는 투명하고 광택이 있으며 빙렬< 氷裂 >이 있고 굽은 안굽으로 굽가장자리는 고리모양으로 노태< 露胎 >되어 있다. 굽다리밑 6곳에 내화토< 耐火土 >받침이 있고 2곳에는 청자< 靑磁 >파편이 붙어 있다. 뚜껑 구연< 口緣 >의 일부는 복원되었고 1곳 결손< 缺損 >되었다. 주구< 注口 > 끝과 손잡이 또한 보존처리하여 복원되었는데 주구< 注口 >는 절단되었던 것을 부착한 것이다. 납작한 윗박 상부< 上部 >는 누렇게 변색되었고 손잡이와 동부< 胴部 > 부착부분에서 동부< 胴部 >로 2줄의 굵은 빙렬< 氷裂 >이 길게 나 있다. 이 주자< 注子 >는 부드러운 곡선< 曲線 >을 그리는 대부분의 호리병형태에 비해 윗박에선 상부< 上部 >가, 아랫박에선 저부< 底部 >가 부풀어 올라 강한 곡선< 曲線 >의 변화를 보여주는 호리병형태이다. 기형 뿐 아니라 문양소재와 구도 또한 특이하고 대담하다. 쌍앵무문이란 소재는 대체로 12세기 대접의 내측면< 內側面 >이나 합< 盒 >의 뚜껑 상면< 上面 >에 음각< 陰刻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고식< 古式 >의 호리병형태의 아랫박에 쌍앵무문이 상감기법으로 시문되었고 상감기법 또한 초기의 수법을 보여준다. 이 주자는 12세기 초의 작품으로 매우 희귀한 양식을 지니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