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자음각여의운문병 - 청자음각여의운문병(靑磁陰刻如意雲文甁)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동부< 胴部 >에는 반양각기법으로 시문한 운문< 雲文 >이 산재해 있고, 구연< 口緣 > 아래에 양각의 당초문대가 섬세하게 시문되어 있으며 견부< 肩部 >에는 두줄의 가는 음각선, 그 아래에는 여의두문대< 如意頭文帶 >, 굽주위에는 연판문대< 蓮瓣文帶 >가 반양각되었다.
유< 釉 >는 녹색을 띤 청색< 靑色 >으로 투명하며 곳곳에 빙렬이 있는데 굽은 다리굽으로 굽안바닥에 규석눈 받침자국이 2곳, 모래섞인 내호토눈 받침자국이 1곳, 굽다리 밑에도 규석눈 받침자국이 1곳 있다. 구연부< 口緣部 > 1곳에 약간 결손된 부분이 있고 1곳은 파손되어 파편이 다시 부착되었다. 동체< 胴體 > 1곳에 가마흠이 있고 2곳에 커다란 빙렬이 있는데 동저부< 胴底部 >에 세로로 균열이 있으며, 굽안바닥에도 몇개의 균열이 있다. 굽다리 1곳에 약간 결손된 흠이 보이고 구부< 口部 >에서 경부< 頸部 >, 그리고 동부< 胴部 > 일부< 一部 >는 누렇게 변색< 變色 >되었다. 구연< 口緣 >이 외반< 外反 >하고 목이 잘록하며 길다란 청자병은 흔히 볼 수 있는 기종< 器種 >이다. 그런데 이 병은 같은 유형의 청자병에 비해 구연< 口緣 >이 더 부드럽게 외반< 外反 >되고 목이 더 가는 편이며 무게중심이 더 아래로 내려와 동하부< 胴下部 >가 불룩하여 훨씬 안정감이 있다. 구연에서 저부까지 이 병처럼 유려하게 흐르는 선< 線 >은 동종< 同種 >의 어떤 다른 병에서도 찾아 볼 수 없다.
더욱이 동부< 胴部 >에 운문< 雲文 >을 자유롭게 배치한 형식도 매우 독특하다. 이 병과 같은 기형은 아직 지정된 예가 없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