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순청자 특유의 음각기법과 상감기법이 혼용된 12세기 전반의 청자대접으로 작은 내저원각< 內底圓刻 >이 있고 내측면< 內側面 >에는 연당초문< 蓮唐草文 >이, 구연부< 口緣部 >에는 좁은 당초문대< 唐草文帶 >가 음각되었다. 반면 외면< 外面 >에는 어떤 종속문양도 없이 측면< 側面 > 4곳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국화절지문< 菊花折枝文 >이 상감되었다.
유< 釉 >는 인종왕릉출토< 仁宗王陵出土 > 청자계< 靑磁系 >에 비해 다소 밝으며 빙렬< 氷裂 >은 측면 2곳에서 길게, 외측면 상감문이 있는 부분에서 가늘게 몇군데 나 있는데 전면시유< 全面施釉 >했으며 굽은 다리굽으로 굽다리 바닥 3곳에 규석눈 받침자국이 있다. 측면< 側面 >에는 길다랗게 균열이 있고 그 옆에 내면< 內面 >에 길다란 빙렬이 있다. 유< 釉 >에는 미세한 기포가 있으며 외면< 外面 >에 긁힌 자국이 유표면< 釉表面 >에 발견되고 가는 빙렬이 몇군데 있다.
이 대접은 내외면의 문양소재 ·구도 ·시문기법 ·깨끗이 정리된 시유형태와 굽의 단정한 규석눈빋침 등이 지극히 세련되어 순청자 시기에서 상감청자 전성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양식을 알려주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다.
순청자 특유의 음각기법과 상감기법이 혼용된 12세기 전반의 청자대접으로 작은 내저원각< 內底圓刻 >이 있고 내측면< 內側面 >에는 연당초문< 蓮唐草文 >이, 구연부< 口緣部 >에는 좁은 당초문대< 唐草文帶 >가 음각되었다. 반면 외면< 外面 >에는 어떤 종속문양도 없이 측면< 側面 > 4곳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국화절지문< 菊花折枝文 >이 상감되었다.
유< 釉 >는 인종왕릉출토< 仁宗王陵出土 > 청자계< 靑磁系 >에 비해 다소 밝으며 빙렬< 氷裂 >은 측면 2곳에서 길게, 외측면 상감문이 있는 부분에서 가늘게 몇군데 나 있는데 전면시유< 全面施釉 >했으며 굽은 다리굽으로 굽다리 바닥 3곳에 규석눈 받침자국이 있다. 측면< 側面 >에는 길다랗게 균열이 있고 그 옆에 내면< 內面 >에 길다란 빙렬이 있다. 유< 釉 >에는 미세한 기포가 있으며 외면< 外面 >에 긁힌 자국이 유표면< 釉表面 >에 발견되고 가는 빙렬이 몇군데 있다.
이 대접은 내외면의 문양소재 ·구도 ·시문기법 ·깨끗이 정리된 시유형태와 굽의 단정한 규석눈빋침 등이 지극히 세련되어 순청자 시기에서 상감청자 전성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양식을 알려주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