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구연< 口緣 >을 조금씩 눌러 만든 6화형< 花形 >의 접시로 넓은 내저원< 內底圓 >에 주문양으로 파어문< 波魚文 >, 내측면< 內側面 >에는 6면< 面 >에 각각 연꽃과 갈대와 물오리 등 연못의 정경을 양인각하였으며 외면< 外面 >은 무문< 無文 >이다.
유< 釉 >는 인종왕릉출토< 仁宗王陵出土 > 청자계< 靑磁系 >의 비색유< 翡色釉 >로 반투명하며 광택이 은은하고 빙렬< 氷裂 >이 없는데 굽은 다리굽이며 내화토받침이 있다. 구연부에는 파손되어 보수한 흠이 있는데 커다란 흠이 1곳, 작은 흠이 여러 군데 있다.
유표면< 釉表面 >에는 전면< 全面 >에 걸쳐 긁힌 자국이 많고 굽다닥에는 여러 군데 조금 결손된 흠이 있다. 이러한 화형< 花形 >접시는 전형적인 고려 전기< 前期 >에 유행하던 기형으로 내면< 內面 >바닥에 파어문< 波魚文 >을, 측면< 側面 >에는 연지포류수금문< 蓮池蒲柳水禽文 >을 시문한 문양구성은 상감청자 출현 이전의 순청자< 純靑磁 >에서도 드물게 나타나는 구성이다.
이 청자접시와 같은 기형< 器形 > ·문양< 文樣 > ·유< 釉 >를 동시에 갖춘 예는 아직 발견된 바 없다.
구연< 口緣 >을 조금씩 눌러 만든 6화형< 花形 >의 접시로 넓은 내저원< 內底圓 >에 주문양으로 파어문< 波魚文 >, 내측면< 內側面 >에는 6면< 面 >에 각각 연꽃과 갈대와 물오리 등 연못의 정경을 양인각하였으며 외면< 外面 >은 무문< 無文 >이다.
유< 釉 >는 인종왕릉출토< 仁宗王陵出土 > 청자계< 靑磁系 >의 비색유< 翡色釉 >로 반투명하며 광택이 은은하고 빙렬< 氷裂 >이 없는데 굽은 다리굽이며 내화토받침이 있다. 구연부에는 파손되어 보수한 흠이 있는데 커다란 흠이 1곳, 작은 흠이 여러 군데 있다.
유표면< 釉表面 >에는 전면< 全面 >에 걸쳐 긁힌 자국이 많고 굽다닥에는 여러 군데 조금 결손된 흠이 있다. 이러한 화형< 花形 >접시는 전형적인 고려 전기< 前期 >에 유행하던 기형으로 내면< 內面 >바닥에 파어문< 波魚文 >을, 측면< 側面 >에는 연지포류수금문< 蓮池蒲柳水禽文 >을 시문한 문양구성은 상감청자 출현 이전의 순청자< 純靑磁 >에서도 드물게 나타나는 구성이다.
이 청자접시와 같은 기형< 器形 > ·문양< 文樣 > ·유< 釉 >를 동시에 갖춘 예는 아직 발견된 바 없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