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자상감운학문화분 - 청자상감운학문화분(靑磁象嵌雲鶴文花盆)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바닥에 구멍이 뚫려 있어 화분으로 제작 ·사용한 청자임을 알 수 있으며 구울 때 전체가 약간 찌그러졌다. 외면< 外面 > 중앙< 中央 >의 횡돌대< 橫突帶 >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단부< 上段部 >에는 상감< 象嵌 >기법으로 학과 구름을 번갈아 시문하였고 하단부< 下段部 >에는 음각연판문대< 陰刻蓮瓣文帶 >를 배치하였다.
유< 釉 >는 실투성< 失透性 >으로 1/3정도 산화물< 酸化物 >에 의한 황록색< 黃綠色 >을 띠며 미세한 빙렬< 氷裂 >이 전면에 퍼져 있고 굽은 안다리굽으로 접지면< 接地面 >의 유< 釉 >를 약간 훑어내고 11곳에 내화토를 받쳐 구운 자국이 있다.
구연부< 口緣部 >에 결손된 부분이 1곳 있고 1곳에 균열이 있는데 전면적으로 유< 釉 >가 변색되었고 가는 빙렬< 氷裂 >이 가득하며 패인 흠과 유< 釉 >가 박락된 부분이 여러 군데 보인다. 굽다리도 몇군데 결손< 缺損 >되었고 바닥에 뚫린 구멍에 균열이 있으며 가마흠이 여러 군데 보인다.
이 청자화분은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제조된 것으로 이 화분의 색다른 점은 주문양< 主文樣 >인 상감운학문< 象嵌雲鶴文 >과 종속문양< 從屬文樣 >인 음각연판문< 陰刻蓮瓣文 >이 거의 같은 비중으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유색은 부분적으로 황록색< 黃綠色 >을 띠지만 상단에 번갈아 배치된 운학문은 매우 세련된 모습이어서 이 화분이 청자전성기의 작품임을 시사해 준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