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뚜껑 윗면은 연판< 蓮瓣 > ·연엽< 蓮葉 > ·연봉< 蓮峰 >으로 조각장식되었는데 연봉오리형 꼭지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세 마리의 나비가 비스듬히 앉아 있는 모양이다. 뚜껑과 맞닿는 주자< 注子 >의 구부< 口部 > 주위에는 양각< 陽刻 > 복연판문< 複蓮瓣文 >이 있고, 주구< 注口 >와 손잡이 하부< 下部 >에는 두 줄의 백상감선< 白象嵌線 >으로 된 여의두문< 如意頭文 >이 돌려져 있다. 거의 구형< 球形 >에 가까운 둥근 주자< 注子 >의 동체< 胴體 > 양면< 兩面 >에는 흑백상감< 黑白象嵌 >의 큼직한 모란절지문< 牡丹折枝文 >이 각 면에 한 개씩 대담하게 시문되었고 주구< 注口 >와 손잡이가 동체< 胴體 >에 연결된 부분에는 2중의 능화형< 菱花形 > 테두리를 백상감< 白象嵌 > 기법< 技法 >으로 장식하였다. 뚜껑 구록< 口綠 >에 받침자국이 있는 부분의 유약< 釉藥 >과 태토< 胎土 >가 조금 떨어져 나갔는데 주구< 注口 > 끝부분과 굽다리바닥에 결손< 缺損 >부분이 있으며 손잡이 윗부분은 결실< 缺失 >된 것을 복원한 것 같다. 전면적< 全面的 >으로 몇 군데 패인 흠이 눈에 띠고 가는 빙렬< 氷裂 >이 있으며 특히 상감문< 象嵌文 >에 빙렬< 氷裂 >이 많다.
유< 釉 >는 얇고 투명하며 빙렬이 있는데 굽은 다리굽으로 전면 시유한 뒤 규석눈받침을 4곳에 받쳐 구웠다. 뚜껑이 밑짝과 맞닿는 부분에는 유약을 훑어내렸으며 받침자국이 있다.
이 주자< 注子 >는 거의 구형< 球形 >을 이루는 기형, 뚜껑의 섬세한 조각수법, 각 부분의 능숙한 음양각수법, 동체의 간결하면서 대담한 상감모란문, 맑고 투명한 유약 등은 가히 명품< 名品 >이라 할 만하다. 원래는 승반< 承盤 >을 갖추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뚜껑 윗면은 연판< 蓮瓣 > ·연엽< 蓮葉 > ·연봉< 蓮峰 >으로 조각장식되었는데 연봉오리형 꼭지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세 마리의 나비가 비스듬히 앉아 있는 모양이다. 뚜껑과 맞닿는 주자< 注子 >의 구부< 口部 > 주위에는 양각< 陽刻 > 복연판문< 複蓮瓣文 >이 있고, 주구< 注口 >와 손잡이 하부< 下部 >에는 두 줄의 백상감선< 白象嵌線 >으로 된 여의두문< 如意頭文 >이 돌려져 있다. 거의 구형< 球形 >에 가까운 둥근 주자< 注子 >의 동체< 胴體 > 양면< 兩面 >에는 흑백상감< 黑白象嵌 >의 큼직한 모란절지문< 牡丹折枝文 >이 각 면에 한 개씩 대담하게 시문되었고 주구< 注口 >와 손잡이가 동체< 胴體 >에 연결된 부분에는 2중의 능화형< 菱花形 > 테두리를 백상감< 白象嵌 > 기법< 技法 >으로 장식하였다. 뚜껑 구록< 口綠 >에 받침자국이 있는 부분의 유약< 釉藥 >과 태토< 胎土 >가 조금 떨어져 나갔는데 주구< 注口 > 끝부분과 굽다리바닥에 결손< 缺損 >부분이 있으며 손잡이 윗부분은 결실< 缺失 >된 것을 복원한 것 같다. 전면적< 全面的 >으로 몇 군데 패인 흠이 눈에 띠고 가는 빙렬< 氷裂 >이 있으며 특히 상감문< 象嵌文 >에 빙렬< 氷裂 >이 많다.
유< 釉 >는 얇고 투명하며 빙렬이 있는데 굽은 다리굽으로 전면 시유한 뒤 규석눈받침을 4곳에 받쳐 구웠다. 뚜껑이 밑짝과 맞닿는 부분에는 유약을 훑어내렸으며 받침자국이 있다.
이 주자< 注子 >는 거의 구형< 球形 >을 이루는 기형, 뚜껑의 섬세한 조각수법, 각 부분의 능숙한 음양각수법, 동체의 간결하면서 대담한 상감모란문, 맑고 투명한 유약 등은 가히 명품< 名品 >이라 할 만하다. 원래는 승반< 承盤 >을 갖추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