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묘법연화경(권6,7) - 묘법연화경(권6,7)(妙法蓮華經(卷6,7))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이 책< 冊 >은 세조비< 世祖妃 >인 정희대왕대비< 貞喜大王大妃년 >(1470)에 세종대왕< 世宗大王 > 예종대왕< 睿宗大王 > 의경왕< 懿敬王 >의 명복을 빌기 위해 판각< 板刻 >된 목판< 木板 >에서 덕종비< 德宗妃 >인 인순대비< 仁粹大妃 >가 성종< 成宗 > 13년< 年 >(1482)에 그의 외동딸인 명숙공주< 明淑公主 >의 천도를 위해 인출< 印出 >해 낸 것 가운데 잔존본< 殘存本 >이다.
이때 찍은 경< 經 >은 이밖에도 대미타참< 大彌陀懺 > 원각경< 圓覺經 > 참경< 懺經 > 지장경< 地藏經 > 육경합부< 六經合部 > 등인데 각각 14부< 部 >씩 인출< 印出 >되었다. 이책 끝에는 김수온< 金守溫 >의 발문< 跋文 >과 강희맹< 姜希孟 >의 묵서발문< 墨書跋文 >이 붙어 있는데 묵서< 墨書 >의 필법< 筆法 >은 2종< 種 >의 전래본< 傳來本 >이 동일< 同一 >하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