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이 지장경< 地藏經 >은 조선조< 朝鮮朝 > 왕실< 王室 >에서 태종< 太宗 >, 원경왕후< 元敬王后 >, 소헌왕후< 昭憲王后 >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된 책이다. 간행시기< 刊行時期 >는 세종의 막내아들이 영웅대군< 英雄大君 >의 군호< 君號 >를 받은 세종< 世宗 > 29년(1447)에서 세종이 돌아가신 해인 32년< 年 >(1450)까지의 세종말년(1447∼50)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선장본< 線裝本 >으로 되어 있으나 판식은 5행< 行 >씩 간격을 둔 절첩형판식< 折帖形板式 >을 지니고 있다. 대부분의 첩장< 帖裝 >은 권자본판식<卷子本板式 >을 지닌데 비하여 이것은 전형적인 첩장용< 帖裝用 > 판식< 板式 >이다. 권말< 卷末 >에 「족주엄경< 族主嚴敬 >」이란 족주자명< 族主者名 >이 본활자< 本活字 >로 찍혀 있어 엄경< 嚴敬 >의 족주< 族主 >에 의해서 인출< 印出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인출시기< 印出時期 >는 인출상태< 印出狀態 >보아 그리 내려오지 않은 시기< 時期 >로 보인다.
이 지장경< 地藏經 >은 조선조< 朝鮮朝 > 왕실< 王室 >에서 태종< 太宗 >, 원경왕후< 元敬王后 >, 소헌왕후< 昭憲王后 >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된 책이다. 간행시기< 刊行時期 >는 세종의 막내아들이 영웅대군< 英雄大君 >의 군호< 君號 >를 받은 세종< 世宗 > 29년(1447)에서 세종이 돌아가신 해인 32년< 年 >(1450)까지의 세종말년(1447∼50)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선장본< 線裝本 >으로 되어 있으나 판식은 5행< 行 >씩 간격을 둔 절첩형판식< 折帖形板式 >을 지니고 있다. 대부분의 첩장< 帖裝 >은 권자본판식<卷子本板式 >을 지닌데 비하여 이것은 전형적인 첩장용< 帖裝用 > 판식< 板式 >이다. 권말< 卷末 >에 「족주엄경< 族主嚴敬 >」이란 족주자명< 族主者名 >이 본활자< 本活字 >로 찍혀 있어 엄경< 嚴敬 >의 족주< 族主 >에 의해서 인출< 印出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인출시기< 印出時期 >는 인출상태< 印出狀態 >보아 그리 내려오지 않은 시기< 時期 >로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