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이천시 관고동 산64-1
영월암마애여래입상< 映月庵磨崖如來立像 >은 자연암석을 다듬어 그 위에 조각한 스님상이므로 육계< 肉계 >가 아닌 민머리칼을 보여주며, 원만하고 둥근 얼굴에 상호< 相好 >가 크고 뚜렷하게 조각되어 있다. 지그시 감은 듯한 눈과 굵직한 코, 두터운 입술 등의 상호에서는 힘차고 후덕한 고승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 목에는 삼도< 三道 >의 표시가 있고 두 손은 가슴에 모아 엄지와 약지를 맞댄 설법< 說法 >하는 모습이다. 왼쪽 어깨를 감싼 우견편단< 右肩偏袒 >의 가사< 袈裟 >는 몸 전체에 유연한 사선을 그으며 흐르고, 끝단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이러한 옷주름선은 그다지 번잡하지도 간략하지도 않은 소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 조사상< 祖師像 >의 신비한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전체적으로 장대하고 힘찬 솜씨를 보이고 있는 이 조사상은 고려< 高麗 > 전기< 前期 >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마애조사상은 영월암의 창건조사 혹은 이 사찰과 인연이 깊은 나한< 羅漢 >이나 고승< 高僧 >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며, 유례가 희귀한 고려시대< 高麗時代 > 마애조사상< 磨崖祖師像 >인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영월암마애여래입상< 映月庵磨崖如來立像 >은 자연암석을 다듬어 그 위에 조각한 스님상이므로 육계< 肉계 >가 아닌 민머리칼을 보여주며, 원만하고 둥근 얼굴에 상호< 相好 >가 크고 뚜렷하게 조각되어 있다. 지그시 감은 듯한 눈과 굵직한 코, 두터운 입술 등의 상호에서는 힘차고 후덕한 고승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 목에는 삼도< 三道 >의 표시가 있고 두 손은 가슴에 모아 엄지와 약지를 맞댄 설법< 說法 >하는 모습이다. 왼쪽 어깨를 감싼 우견편단< 右肩偏袒 >의 가사< 袈裟 >는 몸 전체에 유연한 사선을 그으며 흐르고, 끝단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이러한 옷주름선은 그다지 번잡하지도 간략하지도 않은 소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 조사상< 祖師像 >의 신비한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전체적으로 장대하고 힘찬 솜씨를 보이고 있는 이 조사상은 고려< 高麗 > 전기< 前期 >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마애조사상은 영월암의 창건조사 혹은 이 사찰과 인연이 깊은 나한< 羅漢 >이나 고승< 高僧 >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며, 유례가 희귀한 고려시대< 高麗時代 > 마애조사상< 磨崖祖師像 >인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