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내경< 內傾 >된 주둥이에, 팽배한 어깨에서 서서히 좁혀져 내려가 잘록하게 좁아졌다가 다시 벌어져 세워진 굽다리를 형성한 아담한 항아리이다. 문양은 어두운 청화안료< 靑華顔料 >로 주둥이 위 아래 선< 線 >을 두르고,「◎」문대< 文帶 >를 쳤으며, 어깨에는 간단한 장식이 달린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돌리고, 굽다리에는 사실적인 2중의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둘렀다. 주문양< 主文樣 >으로 동체< 胴體 >에는 능화문< 菱花文 >과 반능화문< 半菱花文 >을 시문< 施文 >하고, 그 속에 수초<水草> 사이를 헤엄치는 잉어와 송사리떼를 묘사했는데, 필력< 筆力 >이 뛰어나고 회화성< 繪畵性 >이 높다. 기벽< 器壁 >은 두껍고 굽다리의 모가 깍였으며, 유색< 釉色 >은 푸른 빛이 감도는 백자유< 白磁釉 >가 시유< 施釉 >되어 있는데, 가는 모래받침으로 구운 흔적이 굽바닥에 남아 있다.
주둥이 일부가 부서진 것을 수리하였으며, 굽다리와 바닥에 2군데의 균열자국이 남아 있다. 경기도< 京畿道 > 광주< 廣州 > 일대의 관요< 官窯 >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선< 朝鮮 > 초기< 初期 >의 청화백자군어문호< 靑華白磁群魚文壺 >로는 뛰어난 작품이자 유일한 유례< 遺例 >이다.
내경< 內傾 >된 주둥이에, 팽배한 어깨에서 서서히 좁혀져 내려가 잘록하게 좁아졌다가 다시 벌어져 세워진 굽다리를 형성한 아담한 항아리이다. 문양은 어두운 청화안료< 靑華顔料 >로 주둥이 위 아래 선< 線 >을 두르고,「◎」문대< 文帶 >를 쳤으며, 어깨에는 간단한 장식이 달린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돌리고, 굽다리에는 사실적인 2중의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둘렀다. 주문양< 主文樣 >으로 동체< 胴體 >에는 능화문< 菱花文 >과 반능화문< 半菱花文 >을 시문< 施文 >하고, 그 속에 수초<水草> 사이를 헤엄치는 잉어와 송사리떼를 묘사했는데, 필력< 筆力 >이 뛰어나고 회화성< 繪畵性 >이 높다. 기벽< 器壁 >은 두껍고 굽다리의 모가 깍였으며, 유색< 釉色 >은 푸른 빛이 감도는 백자유< 白磁釉 >가 시유< 施釉 >되어 있는데, 가는 모래받침으로 구운 흔적이 굽바닥에 남아 있다.
주둥이 일부가 부서진 것을 수리하였으며, 굽다리와 바닥에 2군데의 균열자국이 남아 있다. 경기도< 京畿道 > 광주< 廣州 > 일대의 관요< 官窯 >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선< 朝鮮 > 초기< 初期 >의 청화백자군어문호< 靑華白磁群魚文壺 >로는 뛰어난 작품이자 유일한 유례< 遺例 >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