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주둥이가 넓게 벌어졌으며, 어깨에서 서서히 벌어져 동체< 胴體 > 윗부분에 중심< 中心 >이 있고, 다시 서서히 좁혀져 작고 나직한 굽이 받치고 있는 아담한 항아리이다.
문양은 구연< 口緣 > 안쪽에 초화문대< 草花文帶 >와 굽다리에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상감 <象嵌 >으로 넣고, 동체< 胴體 > 전면< 全面 >은 귀얄로 백토분장< 白土粉粧 >을 하였다. 어깨에는 초문< 草文 >, 저부< 底部 >에는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짙은 철회< 鐵繪 >로 그렸고, 동체< 胴體 > 중심< 中心 >에 사실적으로 묘사한 물고기 2마리와 연화< 蓮花 >를 인화< 印花 > ·상감< 象嵌 > ·철회< 鐵繪 > 등 수법으로 다양하게 나타냈다. 회청색< 灰靑色 >의 밝은 유색< 釉色 >과 정선< 精選 >된 태토< 胎土 > 위에 백토< 白土 >로 분장< 粉粧 >된 이 항아리는 지금까지 알려진 분청사기< 粉靑沙器 > 중에서는 가장 다양한 장식의장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충남< 忠南 > 공주군< 公州郡 > 반포면< 反浦面 > 학봉리< 鶴峰里 >나 온천리요< 溫泉里窯 >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상감< 象嵌 > ·인화< 印花 > ·철회< 鐵繪 > ·귀얄 등 다양한 수법으로 만들어진 분청사기 항아리의 유례< 遺例 >는 매우 드물 뿐더러, 사실적이고도 대범하게 그려 놓은 어문< 魚文 > 등에서 그 예술적 품격과 아울러 도자사상< 陶磁史上 > 중요한 자료가 된다.
주둥이가 넓게 벌어졌으며, 어깨에서 서서히 벌어져 동체< 胴體 > 윗부분에 중심< 中心 >이 있고, 다시 서서히 좁혀져 작고 나직한 굽이 받치고 있는 아담한 항아리이다.
문양은 구연< 口緣 > 안쪽에 초화문대< 草花文帶 >와 굽다리에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상감 <象嵌 >으로 넣고, 동체< 胴體 > 전면< 全面 >은 귀얄로 백토분장< 白土粉粧 >을 하였다. 어깨에는 초문< 草文 >, 저부< 底部 >에는 연판문대< 蓮瓣文帶 >를 짙은 철회< 鐵繪 >로 그렸고, 동체< 胴體 > 중심< 中心 >에 사실적으로 묘사한 물고기 2마리와 연화< 蓮花 >를 인화< 印花 > ·상감< 象嵌 > ·철회< 鐵繪 > 등 수법으로 다양하게 나타냈다. 회청색< 灰靑色 >의 밝은 유색< 釉色 >과 정선< 精選 >된 태토< 胎土 > 위에 백토< 白土 >로 분장< 粉粧 >된 이 항아리는 지금까지 알려진 분청사기< 粉靑沙器 > 중에서는 가장 다양한 장식의장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충남< 忠南 > 공주군< 公州郡 > 반포면< 反浦面 > 학봉리< 鶴峰里 >나 온천리요< 溫泉里窯 >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상감< 象嵌 > ·인화< 印花 > ·철회< 鐵繪 > ·귀얄 등 다양한 수법으로 만들어진 분청사기 항아리의 유례< 遺例 >는 매우 드물 뿐더러, 사실적이고도 대범하게 그려 놓은 어문< 魚文 > 등에서 그 예술적 품격과 아울러 도자사상< 陶磁史上 > 중요한 자료가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