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동용두토수 - 사실적인 작풍(作風)의 용두장식(龍頭裝飾)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금동용두토수< 金銅龍頭吐首 >는 큼직한 코와 부리부리한 두 눈, 길게 찢어진 입술 밖으로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 보이는 사실적인 작풍< 作風 >의 용두장식< 龍頭裝飾 >이다.
머리에는 긴 뿔을 세우고 끝을 두 가닥으로 펼쳤으며, 양 옆으로는 귀까지 표시하였다. 동체< 胴體 >의 단면은 장방형으로 속이 비어 있어 각목< 角木 > 끝에 장식물로 끼워 마무리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유물< 遺物 >은 전각< 殿閣 >지붕 네 귀와 추녀 끝에 끼웠던 토수< 吐首 >가 아니었던가 하는 짐작이 간다.
전체적으로 우람한 모습에다 조각이 힘차고 도금< 鍍金 >빛이 역력하며 더욱 생생해 보인다. 특히 지느러미와 콧수염, 비늘의 세부조각과 세각묘사< 細刻描寫 >는 일품인데, 용< 龍 >에 지느러미를 조식< 彫飾 >한 유례< 遺例 >는 고달사< 高達寺 > 원종대사혜진탑비< 元宗大師慧眞塔碑 >(보물< 寶物 > 제< 第 >7호< 號 >)의 구부< 龜趺 >와 이수< 이首 >에서 볼 수 있어 조성년대< 造成年代 >를 통일신라기< 統一新羅期 >로 추정케 해 준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