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주 대안리 고분군 - 나주 대안리 고분군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나주시 반남면 대안리

대안리 고분군은 자미산 서목에 본래 12기의 크고 작은 고분이 위치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6·7·8·9 호분이 1917 ~ 1918년에 발 굴 조사되고 나서 3오분은 도굴되고 4·6호분은 현재 연멸되어 그 위치만 파악되고 있다. 5호분은 전남대 박물관에서 조사하여 백제 시대 석실분으로 밝혀졌다. 8,9호분은 서로 접해 있는데 서쪽에는 도랑을 사이에 두고 소형 분구를 가진 8호분이 위치하고 있다. 9호분은 동서 39m, 남북 31m, 높이 5.1m의 장방형 분구를 도랑이 감싸고 있어 주목된다. 9 호분에서는 9기의 옹관이 출토되었는데 모두 분구 정상에 매장되 어 있었다. 기관에서는 금동판금구 2개, 곡옥 3개가 출토 되고 경 관에서는 록각도검장식 1개, 동제팔찌 3개, 곡옥 3개, 관옥 14개, 구슬 약 300개, 금가락지 1개 등이 발견되었으며 8호분은 4기의 옹관과 함께 토기잔, 소옥이 출토되었다. 대안이 고분군은 1918년 조사된 후 오늘에 이르고 있으나 그 내용 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고분군이다. 특히 외부시설로써 거대한 장방형 분구의 형태라든가 또는 분구를 둘러싸고 있는 도랑의 존재는 영산강 유역 고분문화의성격을 시사하는 중요 요소로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매우 비중이 큰 유적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른 시기의 고분은 구릉 끝이나 구릉 자락에 있기 때문에 자연지 형과 분구를 구분하여 구역을 정할 목적에서 도랑을 파서 분구를 감싸고 있는데 대부분의 도랑은 본래 물을 담지 않고 도랑 자체만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도랑은 무덤을 성역화 하고자 하는 목적과 다른 땅과 구별하는 의미로써 경계의 뜻을 가지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