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의왕시 내손동 643-13 경춘빌라 가동 1302호
동제은입사향완< 銅製銀入絲香완 >은 완형< 완形 >의 노신< 爐身 >과 통형< 筒形 >의 대< 臺 >가 연결된 일반적인 형태의 향로< 香爐 >이다. 노신< 爐身 >과 대< 臺 >에는 전면에 은으로 무늬가 입사< 入絲 >되어 있는데, 노신< 爐身 > 상부의 넓은 테에는 쌍구식< 雙鉤式 >의 당초문< 唐草文 >이, 노신< 爐身 > 밑에는 굵은 선으로 테두리를 잡고 그 안에 가는 선의 무늬가 있는 중판연화< 重辦蓮華 >가 돌려 있다.
신부< 身部 > 표면에는 네 곳에 굵고 가는 두 줄의 원권< 圓圈 > 안에 범자< 梵字 > 1자씩을 넣었고 원권< 圓圈 > 가장자리에는 여의두문< 如意頭文 >이 돌려 있다. 남은 부분에는 가는 선으로 꽃무늬가 만루< 滿鏤 >되어 있다. 대< 臺 >는 밑이 나팔형으로 넓게 퍼졌고 위에는 굵은 선으로 길게 연화< 蓮華 >를 돌렸으며 그 밑으로 용문< 龍文 >이 입사< 入絲 >되어 있다.
하연부< 下緣部 >에는 은입사< 銀入絲 >로 명문< 銘文 >이 있는데 그 명문< 銘文 >중의「지정육년병술< 至正六年丙戌 >」은 고려< 高麗 > 충목왕< 忠穆王 >2년(1346)에 해당한다.
이 향로는 같은 형태의 은입사< 銀入絲 > 향로 중에서도 가작에 속하는 것이지만, 노신< 爐身 >에 비해서 대< 臺 >가 약한 감이 있으며 더욱이 넓은 구연부< 口緣部 >는 약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또한 입사< 入絲 > 기법에 있어 섬약하고 번다함이 눈에 띈다.
동제은입사향완< 銅製銀入絲香완 >은 완형< 완形 >의 노신< 爐身 >과 통형< 筒形 >의 대< 臺 >가 연결된 일반적인 형태의 향로< 香爐 >이다. 노신< 爐身 >과 대< 臺 >에는 전면에 은으로 무늬가 입사< 入絲 >되어 있는데, 노신< 爐身 > 상부의 넓은 테에는 쌍구식< 雙鉤式 >의 당초문< 唐草文 >이, 노신< 爐身 > 밑에는 굵은 선으로 테두리를 잡고 그 안에 가는 선의 무늬가 있는 중판연화< 重辦蓮華 >가 돌려 있다.
신부< 身部 > 표면에는 네 곳에 굵고 가는 두 줄의 원권< 圓圈 > 안에 범자< 梵字 > 1자씩을 넣었고 원권< 圓圈 > 가장자리에는 여의두문< 如意頭文 >이 돌려 있다. 남은 부분에는 가는 선으로 꽃무늬가 만루< 滿鏤 >되어 있다. 대< 臺 >는 밑이 나팔형으로 넓게 퍼졌고 위에는 굵은 선으로 길게 연화< 蓮華 >를 돌렸으며 그 밑으로 용문< 龍文 >이 입사< 入絲 >되어 있다.
하연부< 下緣部 >에는 은입사< 銀入絲 >로 명문< 銘文 >이 있는데 그 명문< 銘文 >중의「지정육년병술< 至正六年丙戌 >」은 고려< 高麗 > 충목왕< 忠穆王 >2년(1346)에 해당한다.
이 향로는 같은 형태의 은입사< 銀入絲 > 향로 중에서도 가작에 속하는 것이지만, 노신< 爐身 >에 비해서 대< 臺 >가 약한 감이 있으며 더욱이 넓은 구연부< 口緣部 >는 약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또한 입사< 入絲 > 기법에 있어 섬약하고 번다함이 눈에 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