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평의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대 - 함평의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대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산12-2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는 참나무과에 속하며 온대성의 상록활엽수로서 한국과 일본의 온대 공통종이다. 이 나무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제도와 남부 해안 산지의 온대림을 형성하던 주요수목이다. 내륙 지방에서는 함평군 함평읍이 그 자연지대이다. 부락 집 뒤에 울타리와 같이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8m, 수관의 너비가 5m 정도인데 과실이 잘 열며 집과 밭에 둘러싸여서 더 퍼져 자랄 수 없는 곳에 있다. 이 나무의 높이 20m, 줄기의 직경이 60cm까지는 자랄 수 있는 교목이다. 어린 가지에는 갈색인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난다. 잎에 자루가 있고 호생하며 장타원형 또는 장란형인데 끝이 갑작스럽게 첨예해지고 기부는 쐐기 모양 또는 둥글며 전록이거나 위쪽에 소수의 거치가 있고 길이가 6~15cm정도다. 잎은 두껍고 단단하며, 어린 때에는 갈색의 솜털로 덮인다. 꽃은 5월경에 암수꽃이 따로 핀다. 수꽃은 꼬리 모양인 화서를 이루어서 매달리며, 암꽃이삭은 위쪽 앞겨드랑에 2~5개가 직립하여 붙는다. 수꽃의 꽃받침 조각은 6개, 깊이 쪼개지고 수술은 수가 많다. 암 꽃은 털이 많이 있는 총포로 덮이며 호주는 3개다 목재가 단단하고 적색이므로 이용도가 높은 수종이며, 붉가시나무라는 이름은 그 목재가 붉은데서 연유한 것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