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양주시 진건면 사능리 산65-1
사릉<思陵>은 제6대<第6代> 단종대왕<端宗大王> 비<妃>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의 릉<陵>이다.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는 본관<本貫>이 여산<礪山>이며 영돈녕부사<領敦寧府使>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여<女>로서 세종<世宗> 22년(1440년)에 탄생<誕生>하였고 생월생일<生月生日>은 미전<未傳>이다. 단종<端宗> 2년(1454년) 1월 22일 왕비<王妃>로 책봉<冊封>되었으니 춘추<春秋> 15세였다. 단종<端宗> 3년(1455년) 윤<閏> 6월 11일 단종<斷種>이 왕숙<王叔>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양위<讓位>하고 상왕<上王>이 됨에 의덕왕대비<懿德王大妃>로 올렸다. 세조<世祖> 3년(1457년) 6월 집현전<集賢殿> 학사<學士> 성삼문 등<成三問 等>의 상왕복위사건<上王復位事件>으로 단종대왕<端宗大王>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降封>되니 노산군부인<魯山君夫人>으로 내려졌으며 이 해 10월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 의하여 사사<賜死>되자 왕후<王后>는 궁실<宮室>을 떠나 성동<城東>의 숭인동<崇仁洞>에 초가수간<草家數間>을 지어 거처<居處>하면서 정업원<淨業院> 주지<住持>라 칭하고 왕실<王室>에서의 수급<需給>을 일체<一切> 고사<固辭>하여 백의소찬<白衣素饌>으로 종생<終生>하였다. 대왕<大王> 단종<端宗>의 능소<陵所> 영월<寧越>인 동쪽을 바라보기 위하여 올랐던 봉우리는 동망봉<東望峰>으로 불려지고 있으며 정업원<淨業院> 터에 영조<英祖> 어필<御筆>의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 비각<碑閣>이 있다. 중종<中宗> 16년(1521년) 6월 4일 소생<所生> 없이 승하<昇遐>하니 춘추<春秋> 82세였으며, 경기도<京畿道> 양주<楊州> 남<南> 군장리<群場里> 계좌정향<癸坐丁向>(북북동<北北東>에서 남남서향<南南西向>) 언덕에 대군부인<大君夫人>의 예<禮>로 장사<葬事>지냈다. 왕후<王后>는 후사<後嗣> 없이 승하<昇遐>함에 부왕<夫王> 단종<端宗>의 누이 경혜공주<敬惠公主>의 시가<媤家>인 정씨가<鄭氏家>의 묘역<墓域>에 장례<葬禮>하였으며, 봉사<奉祀>도 정씨가<鄭氏家>에서 하여왔다. 숙종<肅宗> 24년(1698년) 11월 6일 단종<端宗>의 묘호<廟號>가 추복<追復>되고 종묘<宗廟> 영녕전<永寧殿>에 부묘<부廟>되면서 익호<謚號>를 정순<定順>이라 하고 능호<陵號>를 사릉<思陵>으로 추봉<追封>하였다. 병풍석<屛風石>과 난간석<欄干石>은 설치<設置>하지 아니하였고, 능침<陵寢> 앞에 상석<床石>이 1좌<座> 있으며, 그 양측<兩側>에 망주석<望柱石> 1쌍을 세웠으며 양석<羊石> 1쌍과 호석<虎石> 1쌍을 능침<陵寢> 주위<周圍>에 배치<配置>하고, 그 밖으로 3면의 곡장<曲墻>을 세웠다. 한 단 아래 제2계<第2階>엔 문인석<文人石> 1쌍과 마석<馬石> 1쌍이 상면<相面> 배설<配設>되고, 중앙<中央>에 사각옥개형<四角屋蓋形> 명등석<明燈石>이 설치<設置>되었으며, 제3계<第3階>는 없다. 영월<寧越> 장릉<莊陵> 추봉시<追封時>에도 병석<屛石>과 난간석<欄干石>을 세우지 아니하였으며 수석<獸石>을 각 1쌍으로 한 것은 추봉릉<追封陵>의 예<例>에 따른 것이고 사각옥개형<四角屋蓋形> 명등석<明燈石>은 장릉<莊陵>과 같은 것으로 숙묘<肅廟> 연대<年代>의 양식<樣式>이다. 능원<陵原> 아래에 정자각<丁字閣>이 있으며 정자각<丁字閣> 동측<東側>에 비각<碑閣>이 있다. 비면<碑面>은 전서<篆書>로 조선국정순왕후사릉<朝鮮國定順王后思陵>이라 쓰고 음기<陰記>가 있으며 영조<英祖> 47년(1771년) 10월에 세운 것이다. 정자각<丁字閣> 남측<南側> 참도<參道>가 시작되는 곳에 홍전문<紅箭門>이 있으며 재실<齋室>은 홍전문<紅箭門> 동남측<東南側> 금곡-퇴계원문<金谷-退溪院問> 대로변<大路邊>에 있다.
사릉<思陵>은 제6대<第6代> 단종대왕<端宗大王> 비<妃>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의 릉<陵>이다.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는 본관<本貫>이 여산<礪山>이며 영돈녕부사<領敦寧府使>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여<女>로서 세종<世宗> 22년(1440년)에 탄생<誕生>하였고 생월생일<生月生日>은 미전<未傳>이다. 단종<端宗> 2년(1454년) 1월 22일 왕비<王妃>로 책봉<冊封>되었으니 춘추<春秋> 15세였다. 단종<端宗> 3년(1455년) 윤<閏> 6월 11일 단종<斷種>이 왕숙<王叔>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양위<讓位>하고 상왕<上王>이 됨에 의덕왕대비<懿德王大妃>로 올렸다. 세조<世祖> 3년(1457년) 6월 집현전<集賢殿> 학사<學士> 성삼문 등<成三問 等>의 상왕복위사건<上王復位事件>으로 단종대왕<端宗大王>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降封>되니 노산군부인<魯山君夫人>으로 내려졌으며 이 해 10월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 의하여 사사<賜死>되자 왕후<王后>는 궁실<宮室>을 떠나 성동<城東>의 숭인동<崇仁洞>에 초가수간<草家數間>을 지어 거처<居處>하면서 정업원<淨業院> 주지<住持>라 칭하고 왕실<王室>에서의 수급<需給>을 일체<一切> 고사<固辭>하여 백의소찬<白衣素饌>으로 종생<終生>하였다. 대왕<大王> 단종<端宗>의 능소<陵所> 영월<寧越>인 동쪽을 바라보기 위하여 올랐던 봉우리는 동망봉<東望峰>으로 불려지고 있으며 정업원<淨業院> 터에 영조<英祖> 어필<御筆>의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 비각<碑閣>이 있다. 중종<中宗> 16년(1521년) 6월 4일 소생<所生> 없이 승하<昇遐>하니 춘추<春秋> 82세였으며, 경기도<京畿道> 양주<楊州> 남<南> 군장리<群場里> 계좌정향<癸坐丁向>(북북동<北北東>에서 남남서향<南南西向>) 언덕에 대군부인<大君夫人>의 예<禮>로 장사<葬事>지냈다. 왕후<王后>는 후사<後嗣> 없이 승하<昇遐>함에 부왕<夫王> 단종<端宗>의 누이 경혜공주<敬惠公主>의 시가<媤家>인 정씨가<鄭氏家>의 묘역<墓域>에 장례<葬禮>하였으며, 봉사<奉祀>도 정씨가<鄭氏家>에서 하여왔다. 숙종<肅宗> 24년(1698년) 11월 6일 단종<端宗>의 묘호<廟號>가 추복<追復>되고 종묘<宗廟> 영녕전<永寧殿>에 부묘<부廟>되면서 익호<謚號>를 정순<定順>이라 하고 능호<陵號>를 사릉<思陵>으로 추봉<追封>하였다. 병풍석<屛風石>과 난간석<欄干石>은 설치<設置>하지 아니하였고, 능침<陵寢> 앞에 상석<床石>이 1좌<座> 있으며, 그 양측<兩側>에 망주석<望柱石> 1쌍을 세웠으며 양석<羊石> 1쌍과 호석<虎石> 1쌍을 능침<陵寢> 주위<周圍>에 배치<配置>하고, 그 밖으로 3면의 곡장<曲墻>을 세웠다. 한 단 아래 제2계<第2階>엔 문인석<文人石> 1쌍과 마석<馬石> 1쌍이 상면<相面> 배설<配設>되고, 중앙<中央>에 사각옥개형<四角屋蓋形> 명등석<明燈石>이 설치<設置>되었으며, 제3계<第3階>는 없다. 영월<寧越> 장릉<莊陵> 추봉시<追封時>에도 병석<屛石>과 난간석<欄干石>을 세우지 아니하였으며 수석<獸石>을 각 1쌍으로 한 것은 추봉릉<追封陵>의 예<例>에 따른 것이고 사각옥개형<四角屋蓋形> 명등석<明燈石>은 장릉<莊陵>과 같은 것으로 숙묘<肅廟> 연대<年代>의 양식<樣式>이다. 능원<陵原> 아래에 정자각<丁字閣>이 있으며 정자각<丁字閣> 동측<東側>에 비각<碑閣>이 있다. 비면<碑面>은 전서<篆書>로 조선국정순왕후사릉<朝鮮國定順王后思陵>이라 쓰고 음기<陰記>가 있으며 영조<英祖> 47년(1771년) 10월에 세운 것이다. 정자각<丁字閣> 남측<南側> 참도<參道>가 시작되는 곳에 홍전문<紅箭門>이 있으며 재실<齋室>은 홍전문<紅箭門> 동남측<東南側> 금곡-퇴계원문<金谷-退溪院問> 대로변<大路邊>에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