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 약사전안에 주존으로 봉안된 고려시대의 석불좌상. 높이 1.1m.
절 위쪽의 용선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을 본딴듯 높이 3단의 팔각연화대좌(八角蓮化臺座)에 결가부좌한 이 불상은 광배가 결실되었으며 약사전에 모셨기 때문에 약사여래라 칭하고 있으나 수인에서 약함을 볼 수 없다.
평면적인 둥근 원으로 나발(螺髮)을 선각한 큼직한 육계에는 발달형의 중앙계주가 표시되어 고려불상의 머리형식의 통례를 따르고 있다.
얼굴은 둥근편으로 가늘게 뜬 부안(府眼), 얼굴너비에 비해 콧등이 평평한 짧은 코, 짧은 인중(人中)과 매우 작게 묘사된 꼭다문 입은 뺨과 턱에 살이 찐 얼굴모습과 함께 다소 미련스럽게 보이기도 한다.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으며 어깨가 올라붙어 목이 무척 짧은데 두터운 삼도가 가슴 윗부분에 표시되었다. 무릎너비는 좁아져서 웅크린 듯한 자세가 되어 불안정하게 보인다. 결가부좌한 하체는 둔중한데 두 발바닥이 드러나 보이며 오른손은 왼발위에 왼손은 오른발위에 올려 놓았다.
현대 불신에 두껍게 회칠을 해서 눈ㆍ코ㆍ입 같은 미세한 세부는 잘 알아 볼 수 없지만 대좌에는 회칠을 하지 않아서 그 표현수법이 생생하게 드러나 보인다.
상하 대좌의 솜씨가 달라 하대석은 우수하여 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이나 중대와 상대석은 거칠고 약간 조잡해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인정된다.
각부의 신체의 비례가 맞지 않아 어색한 점이나 얼굴ㆍ상체, 옷주름, 대좌 등에서 고려불상의 특징을 찾아 볼 수 있고 어느 정도 지방적인 양식까지도 반영하고 있어서 고려 후기의 조각양식을 대변하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