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동흑칠호등 - 희귀성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큰 청동흑칠호등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이 호등< 壺등 >은 등단< 등단 >과 연결되는 부분< 部分 >의 설< 舌 >이 방형< 方形 >이며 정부< 頂部 >는 둥글게 처리되었고 내측변< 內側邊 >은 약간 융기하였으며 이 부분< 部分 >에 사선< 斜線 >이 넣어져 있다. 기부< 基部 >에는 등단< 등단 >을 매기위한 작은 구멍이 뚫려있고 이 밑에 삼화문< 三花文 > 1쌍< 雙 >이 부조< 浮彫 >되어 있다. 능< 菱 >을 이룬 척< 脊 >은 삼화문< 三花文 >사이를 가로질러 사향< 斜向 >으로 내려가 코로 연결된다. 코의 좌우< 左右 >에는 화문< 花文 >이 부조< 浮彫 >되어 있다. 척< 脊 >은 코에서부터 외만< 外灣 >하면서 내려와 답판< 踏板 >으로 연결되며 여기에는 화염문< 火焰文 >이 배치되어 있다. 윤연< 輪緣 >은 세번 굴절< 屈折 >하여 내려와 답판연< 踏板緣 >으로 연결되는데 두번째 굴절부< 屈折部 > 좌우< 左右 >에 원공< 圓孔 >이 각< 各 > 1개< 個 >씩 뚫려져 있다. 답판연< 踏板緣 >도 화형< 花形 >으로 굴절< 屈折 >해 있다. 윤연< 輪緣 > 및 답판연< 踏板緣 >에는 면< 面 >깎기 기법< 技法 >을 보여준다. 앞덮개 및 답판< 踏板 >의 지문< 地文 >은 융기된 사선문< 斜線文 >이며 이들이 측선< 側線 >에서 방향전환< 方向轉換 >하여 어골문< 魚骨文 >을 이루었다. 청동< 靑銅 >을 재료로 한 주조품< 鑄造品 >으로 표면에 흑칠< 黑漆 >을 가< 加 >하였으며 완형< 完形 >이다. 삼국시대< 三國時代 >의 등자< 등子 >는 출토< 出土 >되었으나 통일신라시대< 統一新羅時代 >의 등자< 등子 >로서는 처음 예< 例 >이고, 다만 일본< 日本 > 정창원< 正倉院 >에 이와 유사한 1쌍< 雙 >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그 희귀성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하겠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