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제경갑(98호남분) - 갑주( 甲胄 )의 일부로서 정강이와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것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갑주< 甲胄 >의 일부로서 정강이와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반부는 모를 죽인 마름모형을 세워 놓은 형상이고 하반부는 마름모형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면서 전체를 약간 안으로 우그러뜨렸고 중앙에는 세로 마름모 부분 중앙의 원형을 포함하여 융기선을 내었다. 하반부에는 원통< 圓筒 >을 세로 4분 한 부품을 2개씩의 경첩으로 좌우에서 하나씩 연결하여 정강이를 뒤에서 감싸게 만들고 끝에는 3개씩의 갈고리가 있어서 고정시키게 되었다. 경갑< 脛甲 >은 대구< 大邱 > 비산동< 飛山洞 > 제< 第 >24호분< 號墳 > 또는 경주< 慶州 > 천마총< 天馬총 >에서도 같은 형의 금동제< 金銅製 >가 발견된 일이 있으나 은제< 銀製 >로는 이것이 처음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