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대륜< 臺輪 > 좌우< 左右 > 끝을 연결하여 머리에 쓰게 된 점은 신라금관< 新羅金冠 >의 일반형과 같으나 중앙< 中央 >에 돌기가 있고 좌우로 호형< 弧形 >을 그리면서 위가 넓고 밑이 좁은 마름모형 은판< 銀板 >을 붙이고 좌우에는 반달모양의 은판< 銀板 >을 붙였다. 특히 반달모양의 은판 바깥쪽은 일정한 길이로 가늘게 오리고 하나하나를 꼬아서 새털같이 만들고 표면에는 작은 원형 영락을 달았으며 모든 은판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타점문< 打點文 >이 있다. 이 관< 冠 >은 관< 棺 > 밖 부장품 수장부에서 발견되었고 형태나 수법이 경북< 慶北 > 의성< 義城 > 탑리< 塔里 > 고분< 古墳 >에서 출토된 금동관< 金銅冠 >과 유사하나 경주지구에서는 처음 발견된 양식이다.
대륜< 臺輪 > 좌우< 左右 > 끝을 연결하여 머리에 쓰게 된 점은 신라금관< 新羅金冠 >의 일반형과 같으나 중앙< 中央 >에 돌기가 있고 좌우로 호형< 弧形 >을 그리면서 위가 넓고 밑이 좁은 마름모형 은판< 銀板 >을 붙이고 좌우에는 반달모양의 은판< 銀板 >을 붙였다. 특히 반달모양의 은판 바깥쪽은 일정한 길이로 가늘게 오리고 하나하나를 꼬아서 새털같이 만들고 표면에는 작은 원형 영락을 달았으며 모든 은판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타점문< 打點文 >이 있다. 이 관< 冠 >은 관< 棺 > 밖 부장품 수장부에서 발견되었고 형태나 수법이 경북< 慶北 > 의성< 義城 > 탑리< 塔里 > 고분< 古墳 >에서 출토된 금동관< 金銅冠 >과 유사하나 경주지구에서는 처음 발견된 양식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