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시내 고신라< 古新羅 >시대 고분< 古墳 >에서 출토된 유리제배< 製杯 > 중에서는 처음 보는 특이한 예이다. 구연부< 口緣部 >는 수평에 가깝도록 넓게 외반< 外反 >되었고 몸은 완형< 碗形 >으로 밑이 약간 넓어지면서 하각< 下角 >을 둥글려서 중심에 받침을 단 특이한 형태이다. 받침은 한 줄 마디가 있어 목에 연속해서 나팔형으로 밑이 넓어졌고 하단은 원통형 굽이 있는 듯한 형태이다. 받침 바닥에 약간의 손상이 있는 외에는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었고 투명한 기벽< 器壁 >은 고른 편이며 내면에 갈색으로 목리문< 木理文 > 같은 장식문양이 있다. 기형< 器形 >이나 문양으로 보아 서방에서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경주 시내 고신라< 古新羅 >시대 고분< 古墳 >에서 출토된 유리제배< 製杯 > 중에서는 처음 보는 특이한 예이다. 구연부< 口緣部 >는 수평에 가깝도록 넓게 외반< 外反 >되었고 몸은 완형< 碗形 >으로 밑이 약간 넓어지면서 하각< 下角 >을 둥글려서 중심에 받침을 단 특이한 형태이다. 받침은 한 줄 마디가 있어 목에 연속해서 나팔형으로 밑이 넓어졌고 하단은 원통형 굽이 있는 듯한 형태이다. 받침 바닥에 약간의 손상이 있는 외에는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었고 투명한 기벽< 器壁 >은 고른 편이며 내면에 갈색으로 목리문< 木理文 > 같은 장식문양이 있다. 기형< 器形 >이나 문양으로 보아 서방에서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