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3개의 수각< 獸脚 >이 달린 편구형< 扁球形 >의 기신< 器身 > 한쪽에 꼬부라진 뿔이 달린 양두형< 羊頭形 > 주구< 注口 >가 달리고 이와 직각되는 위치에 손잡이가 달렸다. 기신< 器身 > 중앙에 돌기횡대< 突起橫帶 > 1줄이 있어 주구< 注口 >는 여기서부터 목을 든 형상이고 손잡이는 여기서 일단 위로 꺾였다가 수평으로 뻗었고 끝에는 나무 자루를 꽂았던 듯 속이 비고 자루를 고정시켰던 것으로 보이는 못구멍이 있다. 뚜껑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3줄의 돌대< 突帶 >가 있으며 중앙에 보주형< 寶珠形 > 꼭지가 있다. 뚜껑은 손잡이 위에서 경첩으로 연결하여 여닫게 되었다. 기신< 器身 >의 크기, 다리의 높이, 손잡이의 길이 등 모두 조화를 이루었고 양< 羊 > 머리 모양으로 된 주구< 注口 >의 형식은 사실적이며 중국< 中國 > 육조시대< 六朝時代 > 유물과의 연관에서 주목된다.
3개의 수각< 獸脚 >이 달린 편구형< 扁球形 >의 기신< 器身 > 한쪽에 꼬부라진 뿔이 달린 양두형< 羊頭形 > 주구< 注口 >가 달리고 이와 직각되는 위치에 손잡이가 달렸다. 기신< 器身 > 중앙에 돌기횡대< 突起橫帶 > 1줄이 있어 주구< 注口 >는 여기서부터 목을 든 형상이고 손잡이는 여기서 일단 위로 꺾였다가 수평으로 뻗었고 끝에는 나무 자루를 꽂았던 듯 속이 비고 자루를 고정시켰던 것으로 보이는 못구멍이 있다. 뚜껑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3줄의 돌대< 突帶 >가 있으며 중앙에 보주형< 寶珠形 > 꼭지가 있다. 뚜껑은 손잡이 위에서 경첩으로 연결하여 여닫게 되었다. 기신< 器身 >의 크기, 다리의 높이, 손잡이의 길이 등 모두 조화를 이루었고 양< 羊 > 머리 모양으로 된 주구< 注口 >의 형식은 사실적이며 중국< 中國 > 육조시대< 六朝時代 > 유물과의 연관에서 주목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