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칼자루에 손상이 있을 뿐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칼집과 자루는 나무에 금동< 金銅>을 입혔고 자루 끝은 환형< 환形 >이며 속에 봉황으로 보이는 새의 머리를 조각하였다. 칼집 표면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고 한쪽에 따로 칼집을 만들어 큰 칼과 같은 형식의 측도< 側刀 >를 붙였다. 측도< 側刀 > 칼집 중간에는 긴 방패형의 금동판< 金銅板 > 장식이 달렸고 이 장식에 연결된 지름 0.4㎝ 가량의 긴 원통형 침봉< 針棒 >이 칼집 측면에는 구멍이 있는 네모난 꼭지가 붙어 있어 끈을 꿰었던 것으로 보이며 칼집 하단< 下端 >은 타원형 금판으로 막았으며 작은 돌기가 2개 붙어 있다.
칼자루에 손상이 있을 뿐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칼집과 자루는 나무에 금동< 金銅>을 입혔고 자루 끝은 환형< 환形 >이며 속에 봉황으로 보이는 새의 머리를 조각하였다. 칼집 표면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고 한쪽에 따로 칼집을 만들어 큰 칼과 같은 형식의 측도< 側刀 >를 붙였다. 측도< 側刀 > 칼집 중간에는 긴 방패형의 금동판< 金銅板 > 장식이 달렸고 이 장식에 연결된 지름 0.4㎝ 가량의 긴 원통형 침봉< 針棒 >이 칼집 측면에는 구멍이 있는 네모난 꼭지가 붙어 있어 끈을 꿰었던 것으로 보이며 칼집 하단< 下端 >은 타원형 금판으로 막았으며 작은 돌기가 2개 붙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