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관< 棺 > 밖 머리 쪽 수장궤< 收藏櫃 > 위에서 발견된 것이다. 중앙에 새의 머리같이 생긴 둥근 부분이 있고 그 밑 좌우 어깨 위치에서 위로 솟은 날개 모양이 형성되고 몸체 밑은 수직으로 내려오다가 방패형으로 좁아지면서 끝이 둥글려졌다. 머리 부분에는 투공< 透孔 > 2개가 있고 좌우 날개에는 동체< 胴體 >에 걸쳐 공작 꼬리에서 볼 수 있는 투공이 5개씩 있으며 밑의 방패형이 된 부분에는 장식이 없으나 그 윗부분에는 전면에 걸쳐 약 150개의 원형 영락< 瓔珞 >을 달았는데 하나하나 따로따로 달지 않고 뒤에서 1줄로 연결하면서 달았다. 이 관식< 冠飾 >에는 곳곳에 못구멍이 있어서 무엇인가 고정시켰던 것으로도 보이나 과연 관식< 冠飾 >이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관< 棺 > 밖 머리 쪽 수장궤< 收藏櫃 > 위에서 발견된 것이다. 중앙에 새의 머리같이 생긴 둥근 부분이 있고 그 밑 좌우 어깨 위치에서 위로 솟은 날개 모양이 형성되고 몸체 밑은 수직으로 내려오다가 방패형으로 좁아지면서 끝이 둥글려졌다. 머리 부분에는 투공< 透孔 > 2개가 있고 좌우 날개에는 동체< 胴體 >에 걸쳐 공작 꼬리에서 볼 수 있는 투공이 5개씩 있으며 밑의 방패형이 된 부분에는 장식이 없으나 그 윗부분에는 전면에 걸쳐 약 150개의 원형 영락< 瓔珞 >을 달았는데 하나하나 따로따로 달지 않고 뒤에서 1줄로 연결하면서 달았다. 이 관식< 冠飾 >에는 곳곳에 못구멍이 있어서 무엇인가 고정시켰던 것으로도 보이나 과연 관식< 冠飾 >이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