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살니 7 옥산서원
이 수필고본 일괄은 조선< 朝鮮 > 중종조< 中宗朝 >의 현신< 賢臣 >이며 동방4현< 東方四賢 >으로 추모된 회재< 晦齋 > 이언적< 李彦迪 > 선생이 명종< 明宗 > 2년(1547)에서 명종 8년(1553)에 걸쳐 쓴 친필< 親筆 > 저술< 著述 >이다. 이언적(1491∼1553)의 자< 字 >는 복고< 復古 >, 호< 號 >는 회재< 晦齋 >, 본관< 本貫 >은 여주< 驪州 >, 영의정< 領議政 >에 추증되었고 시호< 諡號 >는 문원< 文元 >이다. 선생의 친필저술은 『속대학혹문< 續大學或問 >』 1책, 『대학장구보유< 大學章句補遺 >』 1책, 『중용구경연의< 中庸九經衍義 > 9책, 『진수팔규< 進修八規 >』 1책, 『봉선잡의< 奉先雜儀 >』 1책 등 모두 13책이다. 이중 『중용구경연의』는 유배지< 流配地 > 강계< 江界 >에서 진강< 進講 >하고, 정조< 正祖 >가 친필로 서< 序 >한 『제선정회재속대학혹문권수< 題先正晦齋續大學或問卷首 >』를 붙이고 있어 그 가치를 더욱 높게 하였다. 이 수필고본들은 독락당< 獨樂堂 >에 전래되어 오던 것을 현재 옥산서원< 玉山書院 > 어서각< 御書閣 >에 보관하고 있다.
이 수필고본 일괄은 조선< 朝鮮 > 중종조< 中宗朝 >의 현신< 賢臣 >이며 동방4현< 東方四賢 >으로 추모된 회재< 晦齋 > 이언적< 李彦迪 > 선생이 명종< 明宗 > 2년(1547)에서 명종 8년(1553)에 걸쳐 쓴 친필< 親筆 > 저술< 著述 >이다. 이언적(1491∼1553)의 자< 字 >는 복고< 復古 >, 호< 號 >는 회재< 晦齋 >, 본관< 本貫 >은 여주< 驪州 >, 영의정< 領議政 >에 추증되었고 시호< 諡號 >는 문원< 文元 >이다. 선생의 친필저술은 『속대학혹문< 續大學或問 >』 1책, 『대학장구보유< 大學章句補遺 >』 1책, 『중용구경연의< 中庸九經衍義 > 9책, 『진수팔규< 進修八規 >』 1책, 『봉선잡의< 奉先雜儀 >』 1책 등 모두 13책이다. 이중 『중용구경연의』는 유배지< 流配地 > 강계< 江界 >에서 진강< 進講 >하고, 정조< 正祖 >가 친필로 서< 序 >한 『제선정회재속대학혹문권수< 題先正晦齋續大學或問卷首 >』를 붙이고 있어 그 가치를 더욱 높게 하였다. 이 수필고본들은 독락당< 獨樂堂 >에 전래되어 오던 것을 현재 옥산서원< 玉山書院 > 어서각< 御書閣 >에 보관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