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가평군 상면 태봉2리 산115-1
이정구 선생은 호가 월사< 月沙 >, 시호< 諡號 >는 문충공< 文忠公 >이다. 선생은 조선< 朝鮮 > 명종< 明宗 > 19년(1564)에 서울 청파동< 靑坡洞 >에서 출생하여 병조< 兵曹 >·예조< 禮曹 >·형조판서< 刑曹判書 >를 거쳐 인조< 仁祖 > 6년(1628)에 우의정< 右議政 >에 승진, 이어 좌의정< 左議政 >을 지냈으며, 인조 13년(1635)에 세상을 떠난 후 영조< 英祖 > 21년(1754)에 특명< 特命 >으로 부조전< 不조典 >(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영원히 모시게 하는 것)을 하사받았다. 그 후에 자손들이 묘역< 墓域 > 입구에 연안이씨삼세비< 延安李氏三世碑 >를 세우고 봉사< 奉祀 >하고 있다. 월사공< 月沙公 > 묘의 위의 묘는 장손< 長孫 > 일상< 一相 >(1612∼1666)의 묘로서 인조 때 예조판서< 禮曹判書 >·대제학< 大提學 >을 지냈으며 또 그 위에 위치한 묘는 장자< 長子 > 명한< 明漢 >(1595∼1645)의 묘로 예조판서< 禮曹判書 >와 대제학< 大提學 >을 지냈다. 후손의 묘가 위에 있는 것은 순서대로 묘를 쓰면 역적이 나올 묘자리라 하여 반대로 묘를 썼다고 전해오고 있다.
이정구 선생은 호가 월사< 月沙 >, 시호< 諡號 >는 문충공< 文忠公 >이다. 선생은 조선< 朝鮮 > 명종< 明宗 > 19년(1564)에 서울 청파동< 靑坡洞 >에서 출생하여 병조< 兵曹 >·예조< 禮曹 >·형조판서< 刑曹判書 >를 거쳐 인조< 仁祖 > 6년(1628)에 우의정< 右議政 >에 승진, 이어 좌의정< 左議政 >을 지냈으며, 인조 13년(1635)에 세상을 떠난 후 영조< 英祖 > 21년(1754)에 특명< 特命 >으로 부조전< 不조典 >(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영원히 모시게 하는 것)을 하사받았다. 그 후에 자손들이 묘역< 墓域 > 입구에 연안이씨삼세비< 延安李氏三世碑 >를 세우고 봉사< 奉祀 >하고 있다. 월사공< 月沙公 > 묘의 위의 묘는 장손< 長孫 > 일상< 一相 >(1612∼1666)의 묘로서 인조 때 예조판서< 禮曹判書 >·대제학< 大提學 >을 지냈으며 또 그 위에 위치한 묘는 장자< 長子 > 명한< 明漢 >(1595∼1645)의 묘로 예조판서< 禮曹判書 >와 대제학< 大提學 >을 지냈다. 후손의 묘가 위에 있는 것은 순서대로 묘를 쓰면 역적이 나올 묘자리라 하여 반대로 묘를 썼다고 전해오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