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492
임진왜란<壬辰倭亂>때의 의병<義兵>을 일으켜 선무원종이등공신<宣武原從二等功臣>에 녹선되고 공조참판<工曹參判>, 전라수군절도사<全羅水軍節度使>를 역임하였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때 경기도 용인 험천<險川>전투에서 순절<殉節>한 정무공<貞武公> 잠와 최진립(<潛窩 崔震立>, 1568∼1636)장군의 유품<遺品>이다. 길이 1m의 지휘도<指揮刀>와 군사 인수인계문서인 해유서(<解由書> 1633년), 장군의 휘장인 옥로잠(<玉鷺簪>, 높이 5㎝, 폭 3.5㎝ 십장생조각), 옥대(<玉帶> 길이 120㎝, 폭 4㎝) 잠와실기목판(<簪窩實記木板> 1739년) 165매, 호패, 벼루, 촛대, 필통, 영락(갓끈장식), 교지, 패지, 교서류, 전답·노비매매문서, 재산분재문서, 호구단자, 준호구, 기타 고문서 경주향안<慶州鄕案>, 경주향청 고왕록(慶州鄕廳 考往錄> 등 많은 유품이 있다.
임진왜란<壬辰倭亂>때의 의병<義兵>을 일으켜 선무원종이등공신<宣武原從二等功臣>에 녹선되고 공조참판<工曹參判>, 전라수군절도사<全羅水軍節度使>를 역임하였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때 경기도 용인 험천<險川>전투에서 순절<殉節>한 정무공<貞武公> 잠와 최진립(<潛窩 崔震立>, 1568∼1636)장군의 유품<遺品>이다. 길이 1m의 지휘도<指揮刀>와 군사 인수인계문서인 해유서(<解由書> 1633년), 장군의 휘장인 옥로잠(<玉鷺簪>, 높이 5㎝, 폭 3.5㎝ 십장생조각), 옥대(<玉帶> 길이 120㎝, 폭 4㎝) 잠와실기목판(<簪窩實記木板> 1739년) 165매, 호패, 벼루, 촛대, 필통, 영락(갓끈장식), 교지, 패지, 교서류, 전답·노비매매문서, 재산분재문서, 호구단자, 준호구, 기타 고문서 경주향안<慶州鄕案>, 경주향청 고왕록(慶州鄕廳 考往錄> 등 많은 유품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