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산11
수동리< 水東里 >마을 내< 內 >의 수동< 水東 >국민학교 뒷구릉으로, 요지< 窯址 >는 구릉 위의 작은 저수지 좌측 경사진 언덕에 위차하며, 가마벽편, 요도구< 窯道具 >들, 분청자편< 粉靑瓷片 >들이 널려 있다. 분청자편< 粉靑瓷片 >들로는 인화분청< 印花粉靑 >의 접시, 대접편< 片 >들과 조화기법< 彫花技法 >의 쌍어문< 雙魚紋 >접시, 엽문호< 葉紋壺 >, 모란문대발편< 牡丹紋大鉢片 > 그리고 박지기법< 剝地技法 >의 모란당초문발편< 牡丹唐草紋鉢片 >, 호편< 壺片 >들, 귀얄기법의 접시, 분장기법의 대접편< 片 >들이 발견< 發見 >되며, 특히 인화기법< 印花技法 >의 접시 중에는 '내담< 內膽 >' 명< 銘 >의 도장이 찍혀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내담< 內膽 >' 명< 銘 >은 전라도< 全羅道 > 지방< 地方 >의 분청자요지< 粉靑瓷窯址 >에서 널리 발견되는 것으로 '내담사< 內膽寺 >' 소용< 所用 >의 그릇을 제작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분청자< 粉靑瓷 > 중에 다양< 多樣 >한 조화< 彫花 >, 박지기법< 剝地技法 >의 분청자호< 粉靑瓷壺 >, 발편< 鉢片 >들이 발견< 發見 >되는 곳이며, 드물게 흑유병편< 黑釉甁片 >도 출토< 出土 >된다. 제작시기는 인화분청< 印花粉靑 >의 말기편< 片 >들과 조화< 彫花 >, 박지분청< 剝地粉靑 >이 주로 발견되는 점, 귀얄, 분장분청< 粉靑 >의 발견< 發見 >으로 보아 15세기후반< 15世紀後半 >에서 16세기전< 16世紀前半 >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수동리< 水東里 >마을 내< 內 >의 수동< 水東 >국민학교 뒷구릉으로, 요지< 窯址 >는 구릉 위의 작은 저수지 좌측 경사진 언덕에 위차하며, 가마벽편, 요도구< 窯道具 >들, 분청자편< 粉靑瓷片 >들이 널려 있다. 분청자편< 粉靑瓷片 >들로는 인화분청< 印花粉靑 >의 접시, 대접편< 片 >들과 조화기법< 彫花技法 >의 쌍어문< 雙魚紋 >접시, 엽문호< 葉紋壺 >, 모란문대발편< 牡丹紋大鉢片 > 그리고 박지기법< 剝地技法 >의 모란당초문발편< 牡丹唐草紋鉢片 >, 호편< 壺片 >들, 귀얄기법의 접시, 분장기법의 대접편< 片 >들이 발견< 發見 >되며, 특히 인화기법< 印花技法 >의 접시 중에는 '내담< 內膽 >' 명< 銘 >의 도장이 찍혀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내담< 內膽 >' 명< 銘 >은 전라도< 全羅道 > 지방< 地方 >의 분청자요지< 粉靑瓷窯址 >에서 널리 발견되는 것으로 '내담사< 內膽寺 >' 소용< 所用 >의 그릇을 제작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분청자< 粉靑瓷 > 중에 다양< 多樣 >한 조화< 彫花 >, 박지기법< 剝地技法 >의 분청자호< 粉靑瓷壺 >, 발편< 鉢片 >들이 발견< 發見 >되는 곳이며, 드물게 흑유병편< 黑釉甁片 >도 출토< 出土 >된다. 제작시기는 인화분청< 印花粉靑 >의 말기편< 片 >들과 조화< 彫花 >, 박지분청< 剝地粉靑 >이 주로 발견되는 점, 귀얄, 분장분청< 粉靑 >의 발견< 發見 >으로 보아 15세기후반< 15世紀後半 >에서 16세기전< 16世紀前半 >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