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동천동 산 4
동천동(東川洞)마애불, 동천동 마애삼존불, 금강산 마애삼존불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동암지가 확실함으로 그 명칭 또한 동암지 마애삼존불이라 함이 옳다. 백율사 뒤로 난 등산로를 따라 금강산 정상에 올라 북동쪽으로 약 50m 내려간 비탈에 마애불과 또 송림으로 분간키 어려운 사지(寺址)가 있다.
본존불(불상 높이 3m)은 살이 찌고 둥근 얼굴, 소발(素髮)을 한 머리에 원형 두광이 있고, 결가부좌한 자세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고 법의는 우견편단(右肩扁단)인 듯하나 바른쪽 어깨 부분이 박락(剝落)되어 확실히 알 수 없다.
양 무릎은 우람하게 크며 법의자락이 유연하게 무릎 아래로 흘러 내렸다. 전체적으로 풍화와 박리(剝離)가 심한데다 특히 수인(手印)의 손상이 커서 구체적인 존명을 알기 어려우나, 좌·우협시보살의 관식(冠飾)에 새겨져 있는 보병과 불상으로해서 이 본존의 존명을 아미타불임을 짐작케 한다.
좌협시보살상(불상 높이 2.35m)은 얼굴과 몸 전체를 본존쪽으로 약간 돌리고 꿇어앉은 자세다. 부분적으로 파손된 곳이 약간 있으나 우협시불과 본존에 비해 비교적 원형을 보여주고 있다. 왼손은 발꿈치쪽으로 내리고 오른손은 들어서 왼쪽 가슴위에 올려 놓았다.
머리에는 화형(花形)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는데 관의 중간 입식(立飾)에 보병(寶甁)이 새겨져 있고, 두부(頭部)둘레에 선각으로 원형두광이 이중으로 돌려져 있다. 양무릎 아래는 단판계 연화문 대좌가 있으나 대부분이 묻혀있다.
우협시보살상(불상 높이 2.30m)은 삼존 가운데 가장 손상이 많은 상태이다. 특히 안면이 완전히 박리(剝離)되었다. 가장 상태가 양호한 부위는 보관과 광배인데 광배는 이단으로 돌려진 원형두광이며, 보관의 중앙부에는 불상이 새겨져 있어서 좌협시불의 보관과는 다른 형태이다. 보관이 돌려진 방향으로 보아 좌협시불처럼 본존을 향하고 있다.
삼존불상의 특징은 좁은 암면에다 본존을 너무 강조하다보니 협시불을 조각할 공간이 협소하여, 협시불의 상반신은 그런대로 표현되었으나 하반신은 본존의 무릎에 대부분 가려져 있어 전체의 바란스에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조각수법은, 불상의 두부에는 볼륨을 주고 그 아래로는 양각이라기보다는 선각에 가깝게 처리하여, 강약을 잘 묘사하는 등 얕게 돋을 새김을 한 솜씨가 돋보인다.
삼존 모두가 눈의 꼬리가 치켜 올라간'형'이다. 이 마애불상은 통일신라 하대로 그 제작년대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마애불이 조각된 바위의 보살상 두광 위에는 각1개씩의 방형공(方形孔)이 있어 당초에는 불상이 목조건물 안에 있었던 것을 알게 한다.
동천동(東川洞)마애불, 동천동 마애삼존불, 금강산 마애삼존불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동암지가 확실함으로 그 명칭 또한 동암지 마애삼존불이라 함이 옳다. 백율사 뒤로 난 등산로를 따라 금강산 정상에 올라 북동쪽으로 약 50m 내려간 비탈에 마애불과 또 송림으로 분간키 어려운 사지(寺址)가 있다.
본존불(불상 높이 3m)은 살이 찌고 둥근 얼굴, 소발(素髮)을 한 머리에 원형 두광이 있고, 결가부좌한 자세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고 법의는 우견편단(右肩扁단)인 듯하나 바른쪽 어깨 부분이 박락(剝落)되어 확실히 알 수 없다.
양 무릎은 우람하게 크며 법의자락이 유연하게 무릎 아래로 흘러 내렸다. 전체적으로 풍화와 박리(剝離)가 심한데다 특히 수인(手印)의 손상이 커서 구체적인 존명을 알기 어려우나, 좌·우협시보살의 관식(冠飾)에 새겨져 있는 보병과 불상으로해서 이 본존의 존명을 아미타불임을 짐작케 한다.
좌협시보살상(불상 높이 2.35m)은 얼굴과 몸 전체를 본존쪽으로 약간 돌리고 꿇어앉은 자세다. 부분적으로 파손된 곳이 약간 있으나 우협시불과 본존에 비해 비교적 원형을 보여주고 있다. 왼손은 발꿈치쪽으로 내리고 오른손은 들어서 왼쪽 가슴위에 올려 놓았다.
머리에는 화형(花形)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는데 관의 중간 입식(立飾)에 보병(寶甁)이 새겨져 있고, 두부(頭部)둘레에 선각으로 원형두광이 이중으로 돌려져 있다. 양무릎 아래는 단판계 연화문 대좌가 있으나 대부분이 묻혀있다.
우협시보살상(불상 높이 2.30m)은 삼존 가운데 가장 손상이 많은 상태이다. 특히 안면이 완전히 박리(剝離)되었다. 가장 상태가 양호한 부위는 보관과 광배인데 광배는 이단으로 돌려진 원형두광이며, 보관의 중앙부에는 불상이 새겨져 있어서 좌협시불의 보관과는 다른 형태이다. 보관이 돌려진 방향으로 보아 좌협시불처럼 본존을 향하고 있다.
삼존불상의 특징은 좁은 암면에다 본존을 너무 강조하다보니 협시불을 조각할 공간이 협소하여, 협시불의 상반신은 그런대로 표현되었으나 하반신은 본존의 무릎에 대부분 가려져 있어 전체의 바란스에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조각수법은, 불상의 두부에는 볼륨을 주고 그 아래로는 양각이라기보다는 선각에 가깝게 처리하여, 강약을 잘 묘사하는 등 얕게 돋을 새김을 한 솜씨가 돋보인다.
삼존 모두가 눈의 꼬리가 치켜 올라간'형'이다. 이 마애불상은 통일신라 하대로 그 제작년대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마애불이 조각된 바위의 보살상 두광 위에는 각1개씩의 방형공(方形孔)이 있어 당초에는 불상이 목조건물 안에 있었던 것을 알게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