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제과대및요패(98호북분) - 종래의 것보다 큰 점이 주목되는 금제과대및요패(98호북분)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과대< 과帶 >는 당초문< 唐草文 >을 투각한 4각형판< 板 >과 삼엽문< 三葉文 >이 있는 심엽형< 心葉形 > 판< 板 >을 아래위로 연결한 과판< 과板 > 28장을 연결하였는데 과판에는 영락이 달렸고 끝에 교구< 교具 >를 단 통식< 通式 >인데, 종래의 것보다 큰 점이 주목된다. 요패< 腰佩 >는 모두 13줄인데 1줄만 길고 나머지는 짧다. 모두 작은 4가형 금판을 사이에 두고 타원형 금판을 연결하였는데 긴 패물< 佩物 >에는 작은 영락이 달려 있다. 출토 상태로 보아 몸 좌우에 3줄씩과 앞에 7줄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수식< 垂飾 >은 금제곡옥< 金製曲玉 >·장방형< 長方形 > 금판< 金板 >·금제어형< 金製魚形 >·금제장도< 金製裝刀 >·투조< 透彫 >칼자루< 形 > 금판< 金板 >·금침형< 金針形 > 등이다. 이들 요패가 어떠한 방법으로 과대< 과帶 >에 연결되었었는지는 알 수 없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